버스업계,'운행이냐' '중단이냐'…유가폭등 요금인상 불가피 주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전국 버스업체들이 조속한 시일내에 대폭적인 요금인상이 되지않을 경우 26일부터 일제히 버스운행을 중단하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어 '서민의 발' 이 묶이는 사태가 벌어질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서울.부산의 버스업체들은 지난 주말 시에 버스면허업을 반납하고 유가폭등에 따라 평균 47.5%의 요금인상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버스운행을 중단하겠다고 통고했다.

이는 전국의 시.도업체들도 마찬가지 입장. 전국버스연합회는 23일 오전11시 긴급 임시총회를 갖고 이같은 요구사항을 결의할 예정이다.

서울시 버스운송사업조합 임성길 상무는 "가뜩이나 버스업계가 어려운 판에 버스연료인 경유값이 지난 19일부터 73.8%나 인상돼 요즘도 하루에 7만원이상의 적자를 보고 있다" 며 "적자나 부도등으로 운행이 중단되느니 아예 지금부터 버스를 세우는 편이 낫다는게 버스업체들의 생각" 이라고 밝혀 운행중단이 단순한 엄살이나 '엄포' 용이 아님을 강조하고 있다.

서울시내 버스요금에 대한 결정권을 갖고 있는 서울시도 갑작스런 유가폭등에 따른 요금인상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정하고 있는 분위기다.

다만 올5월 버스요금이 이미 오른바 있어 한해 2번의 인상을 피하기 위해 내년초부터 요금을 인상하되 서민가계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해 적자보조금 지급등을 통해 요금인상폭을 최소로 줄이겠다는 방침이다.

시관계자는 "요금인상 폭과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물가대책위원회와 시의회 의견청취등의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시간이 필요하다" 고 말해 운행중단 사태는 일단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시는 올9월부터 LPG가격 인상등을 이유로 인상이 요구돼온 택시요금도 내년초부터 인상해줄 방침이어서 서민들은 허리띠를 더욱 졸라매야 할 것 같다.

문경란.장세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