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서울대 논술출제위원 최명옥교수…"출제자 의도 간파해야 고득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서울대 논술고사는 1천6백자, 즉 6개 정도의 문단으로 구성된 한편의 글을 출제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해 쓰는 것입니다.

정확한 어법과 바른 문장이 기본 요건입니다. "

98학년도 고교장추천입학 전형 지필고사의 인문대 출제위원이었던 최명옥 (崔明玉.국문학과) 교수는 논점있는 정확한 글쓰기를 강조했다.

- 고전 (古典) 출제를 두고 논란이 많은데.

"고전은 말 그대로 오랜 시간을 두고 많은 사람들이 읽고 좋다고 생각하는 문학작품이나 사상가들의 책이다.

상당수 수험생들이 읽었고 교사들이 추천했던 것들일 것이다.

고전이란 말에 당황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

- 좋은 논술이란.

"출제자의 의도와 목적이 제시되는 질문과 유의사항등을 정확히 이해하고 서론에는 분명한 논점 제시, 본론에는 논리적이고 정확한 논거와 어떻게 옳은 가에 대한 논증, 결론에는 주제에 대한 명료하고 간략한 정리등이 나타나 있는 글이다.

수험생들이 독창적 견해를 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대개의 수험생들은 과거에 모범답안으로 제시됐던 글을 그대로 혹은 유사하게 쓰는 경향이 있다.

이는 창의력없는 글로 지적돼 높은 점수를 받기 어렵다. "

-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논술고사에 출제됐던 문제와 모범답안을 놓고 질문지와 유의사항을 보면서 각 문단이 어떻게 구성돼있고 결론까지 어떻게 이끌어갔는 가를 살펴보면서 몇번이고 연습해본다.

그러나 답안 내용에 구애받아서는 안된다.

글의 분량이나 어법, 원고지사용법등은 필수적으로 익혀야 한다. "

- 부탁하고 싶은 말은.

"논술고사는 고액 과외가 필요없다.

평소 좋은 책을 많이 읽고 많이 생각하고 또 많이 써보면 된다. "

고정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