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회창·조순연대 껄끄러운 정책조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이회창 - 조순 연대의 순항 여부는 대선정국의 결정적 변수라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DJP연합 성사후 '공매' 를 맞았다고 생각하는 국민회의나 2위 자리를 위협받는 이인제후보측 모두 기회가 나기를 벼르고 있다.

양당이 당장 문제삼은 것은 두 총재 가족의 협상개입 의혹이다.

"그간 외쳐온 3金정치 청산이 가족정치를 뜻하는 것이냐" 고 꼬집고 있다.

전격적으로 밀실 합당을 해치우다 보니 정책 조율이 없었던 것도 노리는 부분이다.

신한국당은 보수 안정층을 기반으로 하는 여당의 정강정책을 유지하고 있고, 민주당은 일부에선 국민회의보다 진보적인 정책을 갖고 있다.

국가보안법.노동관계법.복지정책등을 놓고 입장이 전혀 다르다.

이회창후보는 정책을 손보면서 개혁적 면모를 보일 계획이지만 그 경우 당내 민정계가 어떤 반응을 나타낼지 궁금하다.

조그만 갈등도 정책대립이란 명분을 달면 커질 수 있다.

연합 아닌 합당을 결의했다는 점에서 향후 조율이 주목된다.

통합 전당대회와 후속 당직 개편도 관심거리다.

민주당은 합당을 결의하는 당무회의에서 지분 확보 문제만 갖고 논쟁을 벌일 정도로 이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그러나 양당의 의원수가 10대1이상 차이나는 현실에서 7대3의 배분 원칙이 엄격히 지켜지기는 사실 어렵다.

'전 (全) 민주당 위원장의 간부화' 현상을 신한국당측이 과연 용인할지도 의문이다.

李 - 趙연대를 보는 특정지역의 뒤틀린 감정을 어떻게 처리하느냐도 숙제다.

신한국당내 민주계 일각에서 '대선후 민주당계와 손잡고 당권을 되찾아 오겠다' 고 노리는 것도 李 - 趙연대의 앞날을 점칠 때 고려해야 할 부수적 요소다.

김현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