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운행 현실화가 대부분…서울시 발표 버스노선 조정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11일 서울시가 발표한 시내버스 노선조정안은 얼핏보면 사상최대 규모의 개편안으로 비춰진다.

그러나 그 내용을 들여다보면 서울시의 단호한 의지는 실종된채 시민편의보다는 몇몇 버스업체의 기득권을 인정하는 쪽으로 노선개편이 이뤄졌다는 평가다.

조정된 2백37개 노선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97개 변경노선의 경우 거의 대부분이 그동안 실제 인가된 노선과 달리 불법적으로 노선을 변경해 운행해오던 것을 현실화 시켜준 것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통폐합된 64개 노선도 인가만 받은채 업체부도나 적자 등을 이유로 미운행되던 노선을 폐지또는 통합시킨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시민입장에서 보면 노선개편을 전후로 달라진 것은 신설.연장.단축과 일부 굴곡노선의 직선화등 전체 25%도 안되는 80~90개 노선에 불과하다는 결론이다.

50㎞이상의 장거리 노선 92개중 업체들의 반발로 인해 단축된 것은 5개 노선밖에 되지않으나 연장된 노선은 35개노선이나 되고 있다.

배차간격이 3~4분에 불과한 지역순환버스를 제외하고 나면 도시형이나 좌석버스의 경우 실제 배차간격은 10~15분이상 될것으로 보여 버스가 서민의 발로 자리잡기는 아직도 요원하다는 지적이다.

버스노선을 최종 심의한 노선조정심의위원회의 인적구성과 심의방식도 이번 조정안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최종심의에서 버스업체들의 입장을 설명할 기회는 준 반면 지역주민들의 입장을 대변할 기회는 없어 최종 결정된 노선개편안이 오히려 버스업체의 입장에 기울어져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함께 장거리 노선을 단축함으로써 버스요금을 이중부담하게 될 시민들의 불만과 일부 버스업체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여 시의 노선개편안은 한동안 진통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문경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