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비용 산지가격과 맞먹어…12만원 제주갈치 한상자 서울가면 22만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제주에서 생산된 갈치값이 유통과정에서 수수료등 중간 마진이 너무 많이 붙어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피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도가 지난 9월 갈치 유통경로를 추적해 조사한 결과 국내 주요 수산물시장에 출하된 갈치값을 1백%로 할 때 이중 유통비용이 무려 45.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수협등 생산자단체가 운영하는 대도시 직판장의 경우도 어민들의 수취율은 63.4%, 마진율은 36.6%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통단계를 구체적으로 보면 상품 (上品) 기준 10㎏ 한상자에 산지 경매가격은 어민들이 실제로 받는 11만9천4백75원에 뭍으로 옮기는 비용과 위판수수료를 합쳐 12만5천원이었다.

하지만 산지중도매인 마진과 도매시장 중개수수료, 소매시장을 거치면 최종 소비자가격은 22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품의 경우도 어민 7만2천3백35원을 받지만 소비자들은 11만4천원을 주고 구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도 관계자는 "유통단계별 마진을 분석한 결과 유통경로마다 지나치게 많은 마진이 붙어 있었다" 며 "수산물 도.소매상이 영세하고 취급물량이 적다는 점이 중간 마진을 부풀리는 결과를 낳고 있다" 고 분석했다.

특히 도매시장에서의 거래수수료도 '사용료및 수수료에 관한 시행규칙' 을 무시한채 터무니없이 많이 징수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로 중도매인 중개수수료는 규정 (2%이내) 보다 3%포인트가 많은 5%을 징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 = 고창범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