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김치·불고기 > 한복 > 한글 > 태권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김치와 불고기의 나라.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정보통신 강국. 하지만 북한과 대치하고 있어 위험하고, 국제사회에서 기여도는 낮은 나라’.

주한 외국인들이 평가한 한국을 요약해 보면 이렇다. 국가브랜드위원회가 지난달 말 주한 외국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나온 평가다.

복수 응답을 허용해 실시한 이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한국’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 이미지로 김치·불고기(30.4%), 한복(27.9%), 한글(16.1%), 태권도(8%), 태극기(3.6%) 등을 꼽았다. 그러면서 오랜 역사와 전통(22.8%), 음식(17.9%), 국민성(11%), 과학기술(10.6%), 교육 수준·교육열(8.8%) 등을 ‘한국의 자랑거리’로 들었다.

이들은 한국의 긍정적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분야로는 정보통신(34.9%), 경제(13.2%), 과학기술(13%), 문화·예술(8.8%), 교육(8%) 등을, 부정적 요소로는 정치(29.7%), 언론(9.8%), 경제(9.2%), 외교안보(8.5%), 환경(8.2%) 등을 꼽았다.

‘한국이 저평가되는 이유’에 대해 응답자들은 북한과의 대치상황(48.4%), 국제사회 기여 미흡(44.1%), 정치·사회적 불안(41.5%) 등을 꼽았다. 특히 선진국에서 온 응답자 가운데서는 절반이 넘는 54.8%가 북한과의 대치상황을 가장 큰 ‘코리아 디스카운트’ 요소로 지적했다.

이 밖에 주한 외국인들은 이민·관광지로서의 매력 부족(38.8%), 낮은 세계시민 의식(37.5%) 등도 대한민국이라는 브랜드의 저평가 요인이라고 답했다.

한편 응답자들은 한국이 이런 저평가를 딛고 국가브랜드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관광 여건 개선(29.7%), 국제사회 기여 확대(9.8%), 주한 외국인 배려 확대(9.2%) 등을 제시했다.

권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