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경선 금품살포 의혹등 '이회창'파일로 맞대응 채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국민회의가 신한국당의 김대중총재 비자금 의혹주장을 잠재울 맞대응 카드를 점검하고 있다.

그동안 '유사시' 를 대비해 비장해온 것들이다.

국민회의가 확보중인 반격무기는 10여건. 이른바 '이회창 (李會昌) 파일' 이다.

李총재의 도덕성에 치명적 훼손을 가할 수 있는 강력한 폭발력을 지닌 것들로 알려져 있다.

강삼재 신한국당사무총장의 'DJ비자금' 폭로가 있기 전부터 조세형 (趙世衡) 총재권한대행, 오길록 (吳佶錄) 종합민원실장등은 "확실한게 있다" 며 공개시기를 저울질해왔다.

우선 신한국당 경선 당시 李총재의 금품살포 의혹에 대한 자료다.

吳실장은 "구체적 자료와 증인이 있다" 고 엄포를 놓았다.

당시 박찬종 (朴燦鍾) 신한국당고문에게 이를 제보한 원외위원장 L씨등과도 직접 접촉을 갖고 있다는 전언이다.

국민회의는 경선에서 李총재가 수백억원의 정치자금을 살포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민회의측은 "정치판이 이전투구 (泥田鬪狗) 화 하는 것을 우려해 활용을 자제해 왔다" 며 파괴력을 은근히 과시했다.

"이번에 이 카드를 빼들지는 金총재가 결정할 것" 이라고 덧붙였다.

李총재의 변호사 시절 수임료 변칙신고 의혹을 비롯해 감사원장 시절 모 건설사를 봐준 직권남용 의혹등도 또다른 카드. 당 관계자는 "李총재 부인 한인옥 (韓仁玉) 씨가 '판사 시절엔 월급이 적어 고생하다가 변호사 개업후 형편이 폈다' 고 하지 않았느냐" 며 "장관급인 대법관 월급이 적다면 변호사 수임료는 얼마나 많은지 짐작이 갈 것" 이라고 문제가 간단치 않음을 시사했다.

구기동 자택 구입자금 출처에 대한 의혹과 미국에 사뒀다는 제3자 명의의 부동산 은닉설도 '다듬고' 있다.

당의 한 고위 관계자는 "李총재가 감사원장 시절 경부고속철도에 대한 감사에서 비리를 발견하고도 이를 은닉, 자신의 입지쌓기에 정략적으로 이용했다는 구체적 증언까지 들어오고 있다" 며 으름장을 놨다.

권력 핵심부에서 얻은 '고급정보' 라는 것이다.

이와함께 김영삼 (金泳三) 대통령의 92년 대선자금 문제를 정식 거론하는 방안과 함께 '20억+α설' 의 진상규명등 '누명벗기' 에도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당시 노태우 (盧泰愚) 대통령의 '돈 심부름' 을 했던 김중권 (金重權) 전청와대 정무수석이나 92년 대선 당시 金대통령 사조직을 관장했던 엄삼탁 (嚴三鐸) 전병무청장을 조기 영입, 제3자의 입을 통해 반격과 해명을 병행하는 방안이다.

그에 앞서 신한국당이 지목한 이형택씨가 직접 진상을 밝히게 할 참이다.

반격 수위에 관한 최종 결론은 8일 오전으로 예정된 긴급 간부회의에서 이뤄진다.

金총재가 모든 일정을 취소하고 참석할 이 회의에서는 강공 (强攻) 대처로 가닥을 잡을게 예상된다.

김대중총재의 분노는 일반의 상상을 뛰어 넘는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