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년만에 하산하는 '지리산 지킴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37년간 지리산 피아골 대피소를 관리해온 함태식(81) 할아버지가 대피소 임대사업권을 다른 사람에게 넘긴다.

지리산국립공원 남부사무소는 최근 지리산 피아골 대피소를 임대해 운영할 희망자를 대상으로 공개경쟁입찰을 받아 피아골 대피소 관리인을 선정했다. 함 할아버지는 37년간 수의계약 방식으로 대피소를 임대해 관리해왔다. 하지만 남부사무소는 올해부터 모든 사람들에게 대피소를 임대해 사용할 기회를 동등하게 부여하기 위해 공개입찰방식으로 바꿨다. 이에 따라 함 할아버지는 대피소 임대사업권을 후임자에게 내놓게 됐다.

함 할아버지가 지리산과 처음 인연을 맺은 것은 1960년대 중반.

지리산산악회 부회장으로 지리산을 오르내리던 함 할아버지는 당시 등산로를 정비하면서 험한 산자락에 등산객들이 잠시 쉴 수 있는 대피소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해 정부 당국에 대피소 설치를 건의했고, 1971년 지리산에 처음으로 노고단 대피소가 설치됐다.

함 할아버지는 1972년 초대 노고단 대피소 관리인을 자처하면서 그동안 생활하던 인천을 떠나 지리산으로 들어왔다. 그는 1987년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생기면서 피아골 대피소 관리인으로 자리를 옮겼다. 대피소는 최대 60명이 묵을 수 있는 곳으로 등산객의 편의를 위한 약간의 생필품도 판매하는 곳이다.

함 할아버지의 별명은 '지리산 호랑이'이다. 함 할아버지는 대피소에서 소란을 피우는 등 행동거지가 바르지 못한 등산객들에게는 엄했다. 그래서 붙은 별명이다.

그의 아내는 3년 전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아들 둘은 인천에서 살고 있고, 딸은 이탈리아 로마에서 수녀로 있다.

그는 "지리산 생활을 하면서 지리산 국립공원 지정운동을 펼쳤던 게 가장 기억에 남는다"며 "관리소장을 그만 두고 나서도 피아골 주변에서 살고 싶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 jdn@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