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의원직 사퇴할 각오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민주당은 한나라당 측이 마련한 미디어법 수정안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원혜영 원내대표는 27일 방송 인터뷰에서 “대기업 지분 20%를 10%로 줄여 재벌 지배가 안 되도록 한다는 건 너무나 유치한 얘기”라며 “국민에게 설득력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법은 국민여론 수렴을 아주 폭넓고 다양하게 해야 한다”며 ‘미디어법 토론을 위한 사회적 논의기구’ 구성을 거듭 촉구했다.

유선호(민주) 법사위원장도 “김형오 국회의장이 (미디어법) 직권상정을 밀어붙이면 향후 법사위에서 법안 심사는 없을 것”이라고 보이콧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런 한편 이날 법사위를 열어 계류 중인 97개 비쟁점 법안 가운데 66개 법안을 처리했다. 이날로 예정됐던 본회의를 취소한 김 의장을 겨냥해 민생법안을 처리하라는 압박을 가한 것이다.

조정식 민주당 원내 대변인은 “양당 정책위 의장 협상에선 6개 미디어 쟁점법안 중 2개(저작권·디지털법)는 2월 국회에 상정하고, 나머지 법안은 문방위 산하 논의기구에서 토론을 거치자는 선까지 의견이 접근했었다”고 공개했다. 그러면서 “그 직후 한나라당이 기습 상정을 해놓고, 지분 상한선을 조금 낮출 테니 받아들이라고 밀어붙일 수 있나”고 반문했다.

한편 최상재 언론노조 위원장, 임재경 전 한겨레신문 부사장 등은 이날 정세균 대표를 방문해 “배수진을 쳐서라도 쟁점 법안 처리를 막아야 한다”며 강경 대응을 주문했다. 최상재 위원장은 정 대표에게 “정부·여당이 원하는 대로 언론을 장악한다면 국회의원들이 더 이상 국회의사당에서 할 일이 없다”며 “‘의원직 사퇴’ 각오로 싸워야 악법을 막는 시늉이라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법안의 관련 이익집단이 공당의 대표에게 압박을 가하는 듯한 모양새였다.

강찬호·백일현 기자

◆전국언론노동조합=일부 신문·방송·출판 등 매체산업 종사자들이 가입한 산업별 노조로 KBS와 중앙일보·조선일보·동아일보·매일경제신문·한국경제신문 등은 가입해 있지 않다. 언론노조의 이번 파업도 MBC를 중심으로 하는 방송사 노조원들이 주로 참여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