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옥신 파동 중간점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지난5월 전국 11개 도시 쓰레기 소각장에서 선진국 기준치의 2백배가 넘는 다이옥신이 검출되자 환경부는 부천중동.성남.대구성서등 3곳의 가동을 중단시키고 7월말까지 소각장별 긴급대책을 수립, 시행키로 했었다.

중동소각장 현장을 중심으로 각 소각장별 대책추진상황을 점검했다.

지난달 31일 오전 경기도부천시 중동 쓰레기소각장. 쓰레기를 실은 10트럭들이 다이옥신 배출농도가 1입방당 23.12나노그램 (1나노그램=10억분의 1g) 으로 가장 높았던 이 소각장 입구를 들어선다.

계근대 (計斤臺) 를 통과한 트럭들이 지하 쓰레기장으로 쏟아낸 쓰레기는 대형 크레인에 들려 섭씨 8백50도의 소각로로 보내진다.

6월초부터 가동이 중지됐던 이곳이 지난달 28일부터 재가동에 들어간 것이다.

하루 처리하는 양은 1백20~1백30t으로 적정처리용량 (1백80t)에는 못미친다.

지난1월 부천시로부터 소각장 운영권을 넘겨받은 ㈜대우건설 소각시설운영사업소측은 재가동에 앞서 1억4천여만원을 들여 활성탄분무시설 설치와 소각로벽 재시공등 보수공사를 벌였다.

이현덕 (李顯德.52) 소장은 "소각로 온도를 갑자기 올리면 새로 쌓은 벽에 균열이 생길 우려가 있어 온도를 서서히 올리고 있다" 고 말했다.

소각로 적정온도인 9백50도까지 올린 후 긴급대책으로 제시됐던 집진기입구 온도를 2백50도에서 2백30도로 조절하고 활성탄분무시설도 가동한다는 것. 李소장은 "일본 전문가 4명이 참가해 정상가동 여부를 점검중이며 다이옥신 배출농도를 2~5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 밝혔다.

그러나 소각장 인근주민들은 "국내권장치인 0.5나노그램이하로 낮추어야 한다" 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지난달 30일에는 주민 50여명이 소각장에서 시위를 벌였다.

반면 그동안 부천시의 생활쓰레기를 받아왔던 수도권매립지 주민대책위는 중동쓰레기소각장의 보수공사가 끝나자마자 반입중단을 통보, 쓰레기를 받지 않고 있다.

이에따라 부천시작동의 적환장에 쓰레기가 쌓이는등 문제가 생기자 주민들은 일단 "믿을 수 있는 전문가를 지정, 정상가동후 다이옥신 농도를 측정해 그 결과를 지켜보겠다" 는 입장이다.

소각장측도 단기대책으로는 0.5나노그램미만으로 맞추기가 어렵다는 입장이어서 재측정 결과에 따라 주민들이 크게 반발할 가능성은 여전하다.

소각장은 항구대책으로 내년7월까지 국비.지방비 45여억원을 들여 오염방지시설을 전면 개.보수하고 선택적촉매환원장치 (SCR) 등을 설치, 배출량을 0.1나노그램미만으로 낮춘다는 방침이다.

한편 노후시설 교체등으로 보완공사가 예정보다 1개월쯤 늦어진 성남소각장이나 공사가 완료된 대구성서소각장도 다이옥신 측정결과에 따라 정상가동 여부가 가려질 예정이다.

일산소각장도 조만간 SCR 효율개선등 보완작업을 완료하고 다이옥신 농도를 측정키로 했다.

하지만 서울 목동과 상계동 소각장에서 재측정한 다이옥신 배출농도가 각각 0.03 및 0.05나노그램으로 측정된 점과 비교하면 이들 소각장이 2~5나노그램의 수준에 도달하더라도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소지는 여전히 남아있는 셈이다.

환경부 고윤화 (高允和) 폐기물시설과장은 "새로 건설되는 소각시설의 위치.처리용량등에 대해 체계적으로 지도.감독해 나갈 방침" 이라며 "특히 소각로 처리용량을 지자체별 전체 생활쓰레기 발생량의 40%이하로 억제할 것" 이라고 밝혔다.

소각시설 건설시 국가지원 예산배정등의 수단을 통해 지자체가 가연성 쓰레기를 모두 태울 정도로 과도한 소각시설을 갖추는 것은 막겠다는 것이 환경부의 복안이다.

강찬수 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