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레사수녀 육성모음집 '말씀'출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어떤 잡지에서 나를 보고 '살아 있는 성인' 이라고 했다는군요. 누군가 나를 통해 하느님을 본다는 것은 행복한 일이지요. 나는 모든 사람, 특히 고통받는 사람 안에서 하느님을 봅니다.

" 자신을 성인이라 일컫는 세인들에 대한 테레사 수녀 (87) 의 응답이다.

마더 테레사. 그에게 붙는 수식어는 무척이나 다양하다.

'빈자 (貧者) 의 어머니' '인도의 등불' '캘커타의 성녀' '사랑의 천사' 등등. 하지만 이런 칭송에 그는 무심할 뿐이다.

테레사 수녀의 육성 모음집 '말씀' 이 나왔다 (디자인하우스刊) .전에도 심심찮게 선보인 전기.설교집.영화.비디오등과 달리 그의 입을 통해 그간의 철학과 사상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것이 특징. 2백쪽이 채 안되는 '작은' 책이지만 아무런 군더더기 없이 그의 '큰' 마음을 있는 그대로 펼쳐보인다.

엮은이는 스페인 언론인이자 문학편집자로 있는 호세 루이스 곤살레스 - 발라도. 지난 69년부터 테레사 수녀와 친교를 맺어왔다.

그리고 그를 옆에서 지켜보며 들은 이야기들을 책 속에 모았다.

책은 관용.사랑.덕.미소.돈.고통등 15가지를 소재로 이념과 종교, 그리고 국경을 초월해 '참사랑' 을 실천했던 테레사 수녀의 정수 (精粹) 를 보여준다.

개인.가정부터 국가.세계까지 부박 (浮薄) 한 세상 속에서 과연 어떤 것이 바람직한 삶인가에 대해 간결하고도 확신에 찬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복잡한 비유나 현란한 수사 (修辭) 는 끼어들 틈이 없다.

사랑의 기본은 관심과 애정. 동정과 겸손은 '껍데기' 에 불과하다.

"가난한 사람들에게 정말 필요한 것은 다른 이들과 더하지도 덜하지도 않게 그들의 존엄성이 존중받는 것입니다.

" 쓰다 남은 물건이나 유행 지난 옷을 주는 것은 사랑을 나누는 것이 아니다.

"여러분이 여분으로 가지고 있는 것은 필요없습니다.

" "싫증내지 말고 주십시오. 상처를 받을 때까지, 고통을 느낄 때까지 주십시오. " 가난 또한 물질의 차원이 아니다.

오히려 정신의 문제일 수 있다.

"가장 큰 고통은 혼자라고, 자기를 원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사랑받지 못한다고 느끼는 것입니다" .때문에 테레사 수녀는 자기도 굶주리면서도 건네 받은 음식을 옆집 이슬람인과 나눠 먹는 힌두인에게서 '행복' 의 참뜻을 발견한다.

그리고 누군가 오지 않을까 하는 기대에서 노인들의 시선이 오직 문쪽에 고정된 영국의 한 부유한 양로원에서 고독의 실체를 발견한다.

이같은 일화 (逸話) 를 곁들이며 테레사 수녀는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평범한 언어로 삶의 '본체' 를 파고들고 있다.

그는 특히 시간에 쫓기는 현대인들을 걱정한다.

"우리는 너무나 바빠 서로의 얼굴을 쳐다보고 미소 지을 시간조차 없는가 봅니다.

" "우리 자신에 대해 노심초사한다면 다른 사람을 위해 시간을 내줄 수 없을 것입니다.

" 서구문명 비판도 간간이 나온다.

"인도의 가난한 사람들은 쌀 한줌을 받으면 기뻐하고 만족합니다.

반면 유럽의 가난한 사람들은 가난을 받아들이지 않아요. 그리고 많은 이들이 그 때문에 절망합니다.

" 그리고 인도의 성자 간디가 예수님을 알고 상당한 매력을 느꼈으나 기독교인을 만나고는 실망했다는 예화를 들며 화석화 (化石化) 한 종교를 꼬집는가 하면, 국민의 고통에 대한 배려없이 정쟁 (政爭)에만 매달리는 위정자들에겐 무릎 꿇고 기도하는 시간을 많이 가지라고 충고한다.

본인의 땀이 안 들어간 일에는 물 한잔도 받아 마시지 않고, 지난 79년 노벨상 수상 또한 가난한 사람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부분에서 특유의 소명의식이 느껴진다.

"만일 달에도 가난한 사람들이 있다면 물론 그곳에도 갈 것입니다.

" 푹푹 찌는 폭염, 어수선한 정치.경제 상황에 지친 우리들을 다잡아주는 청량한 말들로 가득하다.

박정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