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5개 시도 자원봉사 지원 경쟁 부산.제주.경기 등 앞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중앙일보가 자원봉사 캠페인을 지난3년간 펼쳐오는 동안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들도 호흡을 함께 했다. 지자체들은 자원봉사센터 신설, 자원봉사계 설치, 예산지원등으로 주민들의 활동을 지원하는 제도화 노력에 힘을 쏟았다. 전국 15개 시.도의 자원봉사 제도화 현황을 중간점검하고 그같은 지자체 지원의 장.단점을 진단해본다. 편집자

◇우수 지자체=전국 15개 시.도중 부산과 제주도.대전.경기도등 4개 지자체가 자원봉사 제도화에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중앙일보가 내무부와 최근 4개 지표를 사용,지자체의 자원봉사 제도화 실태를 점검한 결과다.지표는▶자원봉사센터 설치.운영 현황및 97년 설치계획(내무부 지원)▶자원봉사전산망 설치여부▶올해 자원봉사센터 예산(국비.지방비)▶지자체의 자원(사회)봉사계 신설등이다.이 가운데 자원봉사센터의 설치는 각종 정보제공.알선등을 통해 민간의 자발적 자원봉사활동을 뒷받침하는 가장 중요한 제도적 조치로 평가된다.

조사결과 부산(시장 文正秀)은 자원봉사센터를 지난해 5곳에 설치한 데 이어 올해 12곳을 추가해 올 연말까지 모두 17곳을 설치.운영할 계획이다.따라서 기초단체인 시.군.구(기장군 포함 16개)대비 자원봉사센터 설치율은 1백6%. 부산은 또 올해 모두 7억3천1백만원의 자원봉사 예산을 센터 운영비로 할당했다.시민들에게 다양한 자원봉사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자원봉사전산망도 설치했으며,시청에는 자원봉사계를 신설했다.

제주도(도지사 愼久範)는 자원봉사센터가 2곳으로 기초단체(4곳)대비 설치율은 50%이나 자원봉사전산망을 설치했다.지금까지 자원봉사전산망은 부산과 제주도 2곳밖에 없다.제주도는 특히'작은 봉사 큰 기쁨,더불어 사는 사회'를 목표로 크고작은 3백70여 봉사단체.기관의 운영계획서를 매달 발간,봉사활동을 장려하고 있다.자원봉사 예산은 2억1천8백만원으로 인구1만명당 예산액(6백39만원)이 전국 최고수준. 대전(시장 洪善基)은 기초단체가 5개이나 자원봉사센터는 6곳이나 된다.예산은 3억5천2백만원을 배정했으며 민원봉사실과 중구청에 자원봉사계를 신설했다.

경기도(도지사 李仁濟)는 지난해 설치된 수원.부천.성남시 자원봉사센터를 포함해 올 연말까지 모두 22곳의 센터를 설치(71%)할 예정이어서 대전.부산 다음으로 높다.

◇기타 지자체=경남(도지사 金爀珪)은 자원봉사센터가 7곳(설치율 33%)으로 많은 편이 아니다.그러나 지자체내 조직에 자원봉사계를 19개나 두고 있다.행정기관안에 자원봉사를 조직화한 것으로만 따지면 전국 최고다.

또 광주(시장 宋彦鍾)와 인천(시장 崔箕善)은 자원봉사센터를 각각 2곳씩 두어 기초단체 대비 설치율은 각기 40%와 20%.대구(시장 文憙甲)의 자원봉사센터 설치율은 25%(2곳). 이밖에 충남.전남.서울.강원.경북.전북도 나름대로 자원봉사 제도화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충북(도지사 朱炳德)의 경우 자원봉사센터가 한곳도 없으며 지자체안에도 자원봉사계를 전혀 조직화하지 않았다.앞으로 민간의 자원봉사활동을 어떻게 지원할지 주목된다.

◇장.단점=자원봉사는 미국등 선진국처럼 민간 시민단체가 중심이 돼 이웃과 지역사회를 위해 자발적으로 나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이때문에 내무부와 각 시.도,보건복지부등 정부부처들의 지원 노력은 필요하나 민간의 자발성을 위축시키거나 관(官)주도가 돼서는 안된다는 지적이 높다.

행정적.법적으로 지원하되 운영은 민간자율에 맡겨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각 지역 자원봉사센터가 대표적인 사례로 공무원들이 자원봉사자를 직접 모집.배치하는 것보다는 민간이 스스로 운영하게하고 이를 지원해야 한다는 것.물론 자원봉사센터의 민간위탁을 둘러싸고 단체간 갈등이 많아 하는수 없이 정부직영을 한다는 사례가 많다.그렇더라도 정부.지자체의 제도화는 보다 활발한 민간참여를 끌어내고 행정적 뒷받침을 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하고 있다.

김영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