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학교폭력 안전지대 사후관리 부실해 유명무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학교폭력을 억제하기 위해 시행중인'폭력방지 안전지대(블루존)'사업이 실질적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충북도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청주시는 5월26일 중앙공원과 26개 중.고등학교의 반경 2백를 블루존으로 지정하고 이곳을 폭력으로부터 안전한 곳으로 만들겠다는 선포식을 가졌다.

청주시의 블루존 사업은 이곳에서 영업하는 점포 주인 2천여명을'청소년 지킴이'로 위촉,이들이 학생들을 선도하고 폭력으로부터 위협받는 청소년을 이들 점포로 피신시킬 수 있도록 하자는 것. 하지만 시가'지킴이'에 대해 사후관리를 전혀 하지 않고 민간단체로 책임을 떠넘기는 탓에 이 사업은 사실상 유명무실화된 상태다.

우선'지킴이'에 대한 교육이 한 번도 이뤄지지 않아'지킴이'로 활동할 의지가 있는 주민들조차 학교폭력을 수수방관 하고 있다.

인근에 4개 중.고교가 밀집돼 폭력사태가 빈번한 상당구 J중학교 앞에서 문구점을 운영하는 黃모(64)씨는“학생들의 보복이 두렵고 뭘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 그저 지켜볼 수 밖에 없다”고 말한다.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는 것도 문제.孫모(50)씨는“학생들에게 따끔하게 충고를 하면'당신이 뭔데 참견이냐'며 대들기 일쑤”라고 말한다.

시는 민간단체인 보이스카우트연맹에 이 사업을 위임했으니 달리 할 일이 없다는 입장이다.그러나 보이스카우트연맹측은“우리가 맡은 분야는 학교주변의 유해환경을 단속하는 것이지 학교폭력 전반에 대한 것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한편 경찰이 집계한 충북지역의 학교폭력은 블루존 사업이 시행된 6월에 1백95건이 발생,5월(2백5건)에 비해 거의 줄지 않았다.

청주=문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