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박근혜 ‘쟁점 법안 처리’ 미묘한 입장 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2일 한나라당 최고위원·중진의원과의 오찬 회동에서 이명박 대통령은 여러 차례 당정 간 협조를 강조했다. “지금 우리 앞에 놓인 경제적 장애물은 당정이 힘을 모아야 해결할 수 있다”고 했다. 구체적으로 언급하진 않았지만 여당이 2월 임시국회에서 쟁점 법안의 신속한 처리에 힘을 쏟아 달라고 당부하는 측면이 있었다. 특히 사이가 껄끄러운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에 대해선 박 전 대표의 생일 케이크를 손수 잘라 주는 등 관계 개선에 신경 쓰는 기색이 역력했다. 그러나 두 사람 사이에 근본적 기류 변화가 생겼다고 보기는 어려워 보인다.

이명박 대통령이 2일 청와대 오찬장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한나라당 허태열 최고위원, 홍준표 원내대표, 박희태 대표, 이 대통령, 박근혜 전 대표, 이윤성 국회 부의장. [오종택 기자]


실제로 박 전 대표는 이날 쟁점 법안 처리에 신중한 입장을 표명하면서 이 대통령과 입장 차이를 드러냈다. 당측 인사 가운데 맨 마지막으로 발언한 박 전 대표는 “쟁점 법안은 정부와 야당, 국민 간 관점의 괴리가 크다”며 “국민의 이해를 구하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게 중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사회 통합이 어려운 시기를 극복하는 데 큰 힘이 된다”고도 덧붙였다. 참석자들의 전언에 따르면 박 전 대표가 이 대통령과 의식적으로 각을 세우는 분위기는 아니었다고 한다. 하지만 박 전 대표의 발언은 완곡한 표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쟁점 법안을 무조건 밀어붙이는 것은 곤란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박 전 대표는 회동 후 국회로 돌아와 입장을 좀 더 뚜렷이 밝혔다. 기자들에게 “(관점 차이가 있는 법안은) 충분히 시간을 갖고 어떤 게 옳고 그른가, 국민의 우려를 어떻게 해소할지 토론하고 검토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의 발언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국민적 공감대를 얻자는 데 이견이 있을 수 있겠나. 그러기 위해 우리가 홍보도 하고 설득도 하는 것 아닌가”라며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박 전 대표가 이 대통령 면전에서 이런 말을 꺼낸 건 작심하고 던진 메시지란 관측이 우세하다. 이미 그는 지난달 초 당 공식 회의 석상에서 쟁점 법안 처리 방식에 문제가 있다는 뜻을 밝혀 파장을 일으켰었다. 친박 그룹의 좌장 격인 김무성 의원도 이날 회동 때 “대통령 취임 후 1년 만에야 청와대에 들어와 봤다”며 ‘유감’을 표시했다. 김 의원은 “대통령께서 혼자 고생하지 말고 우리 모두가 고통을 분담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달라. 박 전 대표나 야당 대표와도 자주 만나시라”고 건의했다.

물론 친이·친박 그룹의 계파 갈등이 다시 본격화할 것으로 보는 것은 섣부르다. 박 전 대표의 언급이 아직 원론적 수준이고 모처럼 만난 이 대통령과의 회동 분위기 자체는 좋았다는 게 중론이다. 그러나 어쨌든 한나라당의 대주주인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가 쟁점 법안에 대한 입장이 다르다는 사실이 재차 부각된 점은 2월 임시국회를 헤쳐 나갈 여당 지도부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박 전 대표의 발언을 전해 들은 홍준표 원내대표는 “일일이 다 국민적 공감대를 얻고 처리하려면 직접민주주의라도 해야 되는 거냐”고 되물었다.

김정하·이가영 기자 , 사진=오종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