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통신株 국내외 동시 상장 - 부족한 稅收 메우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이르면 오는 10월말께 한국통신주식이 국내증시와 뉴욕증권거래소에 동시상장된다.이에 앞서 정부는 보유중인 한국통신주식 가운데 5천억원어치(전체의 약 4%)를 해외에서 주식예탁증서(DR)형태로 매각하기로 했다.그 대신 상장전에는 국내시장의 추가매각을 하지 않기로 했다.재정경제원은 26일“10월말께 상장에 앞서 뉴욕.룩셈부르크.싱가포르등에 5천억원어치를 팔되 세수(稅收)및 증시상황을 봐 가면서 더 팔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재경원은 외국인들이 한국통신주식을 살 수 있도록 관계법률을 개정해 이번 임시국회에 제출하기로 했다.현재 한국통신주식을 갖고 있는 국내투자자들은 상장뒤▶증시에서 곧바로 팔아 현금화 하거나▶DR형태로 해외에서도 팔 수 있게 된다.

재경원은“국내투자자들이 상장뒤 해외에서 팔기를 원할 때는 정부가 지정하는 증권사에 매도주문을 내면 된다”고 밝히고“상장되더라도 올해까지는 외국인들이 국내에서 한국통신주식을 살 수 없기 때문에 국내투자자들이 해외에서 팔면 국내보다 비싼 값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외국인들의 경우 한국통신주식을 상장전 DR형태로 살 수 있고▶상장뒤에는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살 수 있으며▶내년부터는 국내증시에서도 직접 총 20%까지 살 수 있게 된다. 〈관계기사 31면〉 재경원은“상장뒤에도 정부보유 한국통신주식을 국내증시 또는 해외에서 DR형태로 계속 매각할 계획”이라며“구체적인 규모와 일정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정부는 93년부터 지난해까지 3차에 걸쳐 8천만주(전체의 28.8%)를 주당 2만4천9백~4만7천1백원에 개인과 법인에 팔았으며 현재 71.2%를 보유하고 있다.

증권업계는“한국통신의 상장으로 국내투자자들의 보유물량이 상당부분 매물화할 가능성이 높아 증시에 악재”라며“상장뒤 한국통신주가는 당시 경기와 증시상황을 봐야 알겠지만 5만원 안팎에서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증시상황이 여의치 않음에도 정부가 한국통신주식을 상장하는데는 올 들어 4조원이나 부족한 세수를 메워 보자는 의도가 깔려 있다.또 정부는 그동안 한국통신주식을 팔면서 상장 약속을 거듭해 왔으며 특히 지난해 11월에는 올 상반기중 상장하겠다고 약속한바 있어 더 이상 미루기 곤란했던 것으로 보인다. 고현곤.이상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