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체 ABCP 상환 비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건설사 구조조정에 시동이 걸렸지만 여전히 위험 요인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왕에 할 구조조정이라면 서둘러 끝내야만 건실한 건설사가 애꿎은 피해를 보지 않을 것이란 지적이다.

28일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1분기에 만기가 돌아오는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의 규모가 2조9000억원에 이른다. 연말까지는 9조3000억원어치의 ABCP를 상환하거나 만기를 연장해야 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ABCP는 자산을 담보로 발행하는 기업어음으로, 주로 건설사들이 대규모 공사를 하면서 미래의 분양 수입 등을 담보로 발행했다. 자산을 담보로 발행하는 채권(ABS)에 비해선 발행 조건이 덜 까다롭고 만기가 짧다.

한국신용평가는 특히 건설사 신용등급이 떨어지고 있어 신용도가 낮은 ABCP로 인한 금융시장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1분기에 만기가 돌아오는 ABCP 가운데 신용등급 ‘A3+’ 이하는 애초 8500억원어치였다. 그러나 최근 신용등급이 조정되면서 이런 ABCP 규모가 9400억원으로 늘어났다. 2분기에 만기 상환해야 하는 ‘A3+’ 이하 ABCP도 3200억원어치에서 4700억원어치로 불어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1월 말까지 국내 4개 신용평가회사가 등급을 평가한 ABCP를 집계한 것이다.

한국신용평가의 김용건 연구위원은 “상당수가 사업 초기 단계에 발행됐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만기 상환 부담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므로 한두 건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신용도에 관계없이 모든 건설사의 ABCP로 파급될 수 있다”며 “금융회사와 건설업계가 구조조정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