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며 사랑하며 배우며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98호 15면

‘고소득 남자들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잡지’에서 일하다 보니 ‘부자’와 간접적으로 관계 맺게 된다. 그들이 사고 싶어하는 것, 먹고 싶어하는 것, 가보고 싶어하는 곳을 잠시 체험하게 된다는 의미다. 그럴 때면 나 자신은 부자도 아니면서 그들의 마음은 이런 게 아닐까, 짐작하게 된다. 10년 가까이 가끔씩 부자 체험을 해본 나는 간혹 생각한다. ‘역시 돈만으로는 행복할 수 없다. 이 사실은 돈 있는 사람이 가장 잘 알 것이다’ ‘돈 많은 사람보다 돈 덜 많은 사람이 더 행복하게 사는 건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

몇 년 전, 프랑스의 유명 휴양지 니스 해변에 누워 아이스 버킷 안에 동 페리뇽 한 병 재워두고 하루 종일 몸을 태웠다. 처음에는 평생 처음 누리는 호사에 즐거웠지만 두 시간쯤 지나서 깨달았다. ‘혼자 오는 니스보다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가는 대천 해수욕장이 더 낫군’. 요즘은 자동차 시승기를 쓰느라 한 달에도 몇 대씩 남들이 타보고 싶어하는 수입 차를 몰아본다. 간혹 고성능 스포츠카도 있다. 침 튀는 줄도 모르고 예찬하게 되는 차가 있는가 하면, 이 값에 이 정도 성능의 수입 차를 굳이 몰아야 하나 의문이 생기는 차도 있다. 공통적인 건 시승차에서 내려 다시 내 차를 탔을 때의 기분이다. ‘뭐니 뭐니 해도 내 차가 제일 마음 편하군’.

그리 친하지는 않지만 만나야만 하는 사람들과 와인을 마실 때가 종종 있다. 프랑스 그랑 크뤼 와인, 호주 부티크 와인이 줄줄이 내 입으로 들어올 때다. 물론, 좋다. 하지만 동네 횟집에서 잡어 세코시를 시키고 저렴한 화이트 와인을 유리컵에 따라 마시는 게 나는 더 즐겁다. 내가 서민 체질이라 이런 결론을 내렸을 수도 있지만, 아무래도 부자들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행복하지는 않다.

부자보다 행복하게 사는 방법은 간단하다. 『살며 사랑하며 배우며』라는 1970년대 베스트셀러 제목처럼 사랑하고, 배우면서, 사람답게 살면 부자보다 행복할 수 있다. 누군가를 사랑하는 데는 돈 한 푼 안 든다. 소유하는 사랑이 아닌, 그저 사랑하니까 사랑하는 사랑을 말하는 거다. 그런 사랑이 우리에게 주는 충만한 기쁨은 돈을 주고도 살 수 없다.

나의 행복 전략은 ‘더 많이 느끼는’ 것이다. 5000원짜리 밥을 먹더라도 5만원짜리 밥을 먹는 사람보다 더 많은 맛을 느끼고, 꼭꼭 씹어서 영양소를 온전하게 내 것으로 만들면 내가 더 행복한 것 아닌가?
‘그 대상을 잘 알고, 많이 사랑해서 행복해지기’. 연재를 마치면서 꼭 하고 싶었던 말이다.


현직 남성 잡지 기자인 송원석씨는 ‘신사, 좀 노는 오빠, 그냥 남자’를 구분 짓게 하는 ‘매너’의 정체를 파악, 효과적인 정보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