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 공직자 70여명 內査 - 국장급 이상.단체장 대상 일부 비리 포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한보.김현철(金賢哲)씨 사건으로 해이해진 공직사회 일각의 기강을 죄기 위해 고위공직자 대상의 비리 척결 작업에 전면 나서기로 했다.

〈관계기사 3면〉 청와대는 이미 사정(司正)기관들을 동원,중앙부처 국장급이상 공직자와 지방자치 단체장등 70여명을 내사(內査)하고 있으며 일부 인사의 비리혐의를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종수(文鐘洙)청와대 민정수석은 21일“내사 대상에는 장.차관급도 포함돼 있다”고 밝히고“혐의점이 있는 사람이 조만간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움직임은 고위직의 비리가 줄지 않는다는 판단에다 고위직 일부가 대선예비주자에게 줄을 대는 임기말 현상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청와대관계자가 설명했다.

청와대에서 11개 부처 사정실무자들이 참석,文수석이 주재한'국가기강확립 실무협의회'는 대선 분위기에 편승한 고위공직자들의 정치권 줄서기.보안자료 유출등 정치권과의 유착현상을 추적키로 했다.

회의에서는 자치단체장들이 지방선거가 1년이상 남았는데도 벌써 재선(再選)을 노려 예산 나눠주기등 노골적인 선심행정을 펴는 사례가 많다고 보고,이런 행태와 관련한 비리를 파헤치기로 했다.

사정실무자들은 ▶공직자 사기앙양및 엄정한 기강확립▶공직자의 정치적 중립▶공정한 선거관리▶민생불안 요인 사전차단▶경제활력 회복 지원을 임기말 기강확립의 4대과제로 설정했다.

이와 함께 12월 대선의 공정한 관리를 위해 사전 선거운동 금지 시점인 6월부터 내무부.선관위.검찰을 중심으로 선거운동사범 단속에 착수하고,지방단체장과 공무원의 선거개입을 막도록 했다.또한 감사원.국세청.공정거래위가 나서 호화 사치생활자.상습 해외골프 여행자.외화도피자를 찾아내 처벌키로 했으며,공공기관의 무절제한 해외파견.출장을 막도록 했다. 박보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