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대선자금 문제 코너에 몰기 野 총공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92년 대선자금 문제가 핵폭발을 시작했다.

이미 예고된 것이기는 하지만 지난달 29일 전민자당 회계실무자 김재덕(金載德)씨의 증언에 여야 모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신한국당은 30일'야권의 정치공작'이라며“구체적 규모는 확인할 길도 없으며 별다른 입장표명 계획도 없다”고 되받았다.너무 뻔한 부분이라 거짓말을 할 수도 없고,외면하고 버틸 경우의 부담때문에 크게 당황하고 있다.

일단“정국이 대선자금 국면으로 이어질 경우 시국수습은 물론 국정운영과 경제살리기에도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말로 사태확산을 최소화하는 중이다.그러면서▶대선자금에 대한 포괄적인 입장표명 여부▶야권의 정치공세 차단전략▶당내 갈등 해소방안등 대책을 숙고하고 있다.야권은 비상태세에 돌입했다.

국민회의.자민련 모두 이날 아침 당무회의를 열어 전략을 논의했다.

국민회의는 1년여 동안 집요하게 추적해온 대선자금의 실체를 일거에 발가벗기지는 못했지만 여권을 빠져나가지 못할 궁지에 몰았다고 본다.“더이상의 은폐.축소를 중지하고 실체를 이실직고(以實直告)하라”고 다그치며 검찰의 수사를 함께 요구했다.

한보사태에 이어 확실한 호재(好材)에 주도권을 쥐었다고 판단,전면전에 돌입한 상태다.

적절한 시기에 당시 야당쪽의 자금을 공개하면서 차별화한다는 구상도 해놓았다.

당무회의는 결의문에서“김영삼(金泳三)대통령은 더 가혹한 국민들의 요구가 있기전에 스스로 밝히라”고 엄포를 놓았다.특히“한보자금과 노태우(盧泰愚)전대통령이 제공한 자금은 엄정하게 규명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대중(金大中)총재는 전날 충남예산에 이어 30일 부곡에서 열린 당직자 연수회에서 한보사건 마무리의 첫 조건으로 金대통령의 대선자금 규명을 촉구했다.

국민회의와 강도.접근태도가 다르긴 하지만 자민련도 검찰수사와 여당 스스로의 실체규명을 요구했다.

상당수 소속 의원.당직자들이 당시 민자당에 몸담고 있었음을 강조하며“공조직 자금만도 최소 4천억원”이라고 지적했다.“신한국당이 제대로 밝히지 않을 경우 부득이 당시의 공조직 대선자금을 밝힐 수밖에 없다”고 압박을 가했다.

당시 민자당 지구당위원장 출신들은“당시 지구당에 내려보낸 중앙당 자금만도 3억~10억원씩”이라며 슬슬 운을 떼고 있다.

김석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