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성 계속 땐 질서회복 조치” 통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한나라당 홍준표, 민주당 원혜영, 선진과 창조모임 권선택 원내대표는 29일 오후 국회에서 두 차례 교섭단체 원내대표 회담을 열고 국회 정상화 방안을 논의했으나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권 원내대표의 중재로 열린 회담에서 한나라당은 중점 처리 법안으로 제시한 85개 법안 중 사회개혁법안 13개를 뺀 나머지 72건을 연내에 처리하자고 한 반면 민주당은 직권상정을 하지 않겠다는 약속부터 하라고 맞섰다.

이에 앞서 김형오 국회의장은 오전 부산 롯데호텔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본회의를 31일 열어 여야 합의된 민생 법안을 우선 처리하겠다”며 “오늘(29일) 밤 12시까지 의사당 내 모든 점거 농성을 풀고, 시설물을 원상 복구시킬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특히 김 의장은 “임시국회(1월 8일 종료) 내에 여야 간 협의를 마치기 바란다”며 “대화와 합의가 없는 현 상황이 지속된다면 국회의장으로서 취할 수 있는 질서 회복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김 의장은 한나라당이 요구한 쟁점 법안의 연내 직권 상정에 대해선 “여야가 노력하지도 않고 의장에게 무조건 하라, 하지 말라 강요하는 건 올바른 자세가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이 주장한 85개 법안의 연내 처리는 불투명해졌다.

김 의장이 제시한 방안에 대해 청와대와 여야 모두 불만을 표명했다. 청와대 이동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민생개혁법안·이념법안이 따로인 것처럼 얘기하는데 민생을 위해 한 덩어리로 필요한 법안들로, 조속한 처리가 국민적 여망과 기대”라며 “김 의장도 이런 기대를 잘 헤아리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승희·선승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