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검소 모드’ 모범 보인 울산시 신청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27일 완공된 울산시청 신축 건물(右)과 내년 11월 리모델링 공사를 마칠 기존 본관(左)의 전경. 모두 732억원의 사업비가 책정됐다. 완공된 신청사는 5만2662㎡의 부지 위에 지하 1층, 지상 13층 규모다. [울산시 제공]


울산시(시장 박맹우)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이 4297만원이다. 전국 평균(1882만원)의 두 배가 넘는다. 전국에서 ‘최고 부자 도시’로 꼽힌다.

그런 울산시가 27일 신청사를 준공했다. 새 청사를 짓는 데 들어간 비용은 모두 732억원. 2000년 이후 완공했거나 신축 예정인 서울·경기도·전남·전북·광주 등 5개 광역 자치단체의 평균치인 1998억원의 37%에도 못 미치는 금액이다.

가장 적게 쓴 광주광역시의 경우 새 청사(2003년 12월 완공)에 근무하는 공무원 수는 울산시(1007명)보다 적은 985명에 불과하다. 하지만 총사업비는 1516억원으로 완공일이 5년이나 늦은 울산시의 두 배를 넘었다. 광주는 부지 9만4192㎡에 18층 규모로 건물 연면적(8만7072㎡)이 울산시(6만708㎡)보다 2만7000여㎡나 크다.

또 시·군·구 36곳 가운데 경기도 성남·용인, 서울 용산, 경북 포항 등 11곳(평균 1287억원)이 울산시보다 사업비가 많았다.

용인시는 1974억원을 들여 지하 2층, 지상 16층, 연면적 7만9000여㎡의 호화 청사를 짓다 행정안전부로부터 청사 건립 지원금을 거부당했다. 2010년 완공 예정인 성남시 청사(연면적 7만3956㎡, 지하 2층, 지상 9층)도 3222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웬만한 광역단체보다 크다.


◆‘절약과 효율’=울산시청은 남구 중앙로 일대 공터로 남아 있던 부지 2만9314㎡에 건물 연면적 3만8748㎡ 규모의 새 사무동·주차동을 건립했다.

지하 1층, 지상 13층, 연면적 2만2356㎡의 사무동에는 공청회·시민설명회를 할 수 있는 500석 규모의 대강당과 4개 국어 동시통역이 가능한 국제회의장, 전시·공연을 할 수 있는 시민홀, 시 홍보관, 옥상전망대를 갖췄다. 지하·지상 10층 규모의 주차동은 709대의 차량이 동시 주차할 수 있는 주차공간과 400석 규모의 구내식당·이발관·은행 등 편의시설이 마련됐다. 옥외 테마공원과 광장도 갖췄다.

이렇게 짓는 데 총 636억원이 들었다. 여기에 기존의 본관 8개 층 연면적 9177㎡를 내년 11월까지 리모델링하는 데 들어가는 96억원을 포함해 전부 732억원의 사업비가 책정됐다. 모두 완공되면 기존 본관~의회동~신관~주차동 등 모두 4개 동 6만708㎡의 청사가 층간 복도로 연결돼 단일 건물처럼 효율적인 체계를 갖춘다.

◆가이드라인보다 적게=울산시는 40년 된 낡은 건물을 헐고 재건축하는 대신 리모델링을 선택했다. 리모델링비는 총 96억원으로 같은 크기로 재건축할 때의 비용(154억원)보다 57억원을 절감했다. 통신(2억원)·화장실(4억원)·전기(3억원) 등 기존의 시설물도 재활용키로 하며 쥐어짰다. 울산시 강석희 회계과장은 “울산시도 69년 현재의 본관 건물을 완공했을 때 1개 층을 1년여 동안 비워 둬 호화 논란에 휩싸인 적이 있었다”고 소개했다.

이에 따라 전체 청사 규모를 행안부가 인구·면적을 기준으로 제시한 ‘지방청사 설계 표준면적 산정 기준’(울산시의 경우 건물 연면적 6만1474㎡)을 넘지 않도록 하기로 했다. 결국 효율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건물 연면적(6만708㎡)으로 지어 행안부 기준보다 766㎡ 적게 했다.

이기원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