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방송통신은 경제논리로 봐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이명박(얼굴) 대통령은 26일 “방송통신 분야는 정치 논리가 아닌 실질적 경제 논리로 적극적으로 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업무보고를 받으며 “방송통신 분야는 새로운 기술 융합의 선도 부서이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부서”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다음 세대를 기대할 수 있는 신성장동력도 방통 융합을 통해 가져올 수 있다”며 “앞서가는 IPTV 기술을 도입하면 가능하다. 방송통신위원회는 합심해서 그 목적을 달성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신문·방송 등 미디어 간 겸영 허용 ▶방송사업 소유제한 완화 ▶신규 종합편성 프로그램 제공업체(PP) 도입 ▶방송광고 판매시장의 경쟁 촉진 등을 골자로 한 2009년 업무계획을 이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한편 전국언론노조는 “정부와 한나라당이 추진하는 미디어 관련법을 저지하겠다”며 오전 6시부터 총파업에 돌입했다. 이날 오후 MBC 1400여 명을 비롯, 언론노조 소속 1700여 명은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파업 출정식을 했다. 파업에 주도적으로 나선 MBC는 뉴스데스크를 신경민 앵커 단독으로 진행하는 등 일부 방송을 노조원 없이 진행했고, SBS 뉴스 앵커들은 검은 ‘상복’을 입고 방송에 출연했다.

이에 대해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은 “명백한 불법 파업”이라며 “정부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 차관은 특히 “MBC 등 방송사의 파업은 국민의 재산인 전파를 특정 방송사의 사적 이익을 위해 사유화하는 것으로, 결코 용납할 수 없는 비윤리적 행위”라고 밝혔다.

노동부도 “언론노조의 파업은 불법 파업”이라며 “근로조건과 관련된 사안이 아닌 이번 파업은 노동관계법상 보호를 받을 수 없다”고 밝혔다.

서승욱·김필규 기자

◆전국언론노동조합=일부 신문·방송·출판 등 매체산업 종사자들이 가입한 산업별 노조로 KBS와 중앙일보·조선일보·동아일보·매일경제신문·한국경제신문 등은 가입해 있지 않다. 1만3000여 명이 소속돼 있다는 게 조합의 주장이다. 이번 파업은 MBC를 중심으로 하는 방송사들이 주로 참여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