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정부 출범후 비자금 대거 조성에 주목 - 한보 1조 3,000억 증발 파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한보 비서실의 철강설비 관련 내부 문건은 7일부터'본선'에 들어가는 청문회를 한층 뜨겁게 할 것같다.이른바 정태수(鄭泰守)리스트와 맞물려 증인과 특위 위원간.여야간.정치권과 검찰간 치열한 공방전이 예상된다.피아(彼我)구별을 어렵게

만드는 혼전이 벌어질 듯하다.

임채정(林采正)의원이 제기한'코렉스 설비(제선공장)2천억원 리베이트조성'설만 갖고도 정치권이 한동안 들끓었다.그런데'검은 돈'규모가 7배 가까이로 늘어남에 따라 비자금 조성의혹은 한보 철강공사의 모든 부문으로 튈 전망이다.

위원들은 1조3천억원대라는 거금의 행방을 추궁하겠다고 벼르고 있다.정태수 비자금의 전모를 밝히겠다는 것이다.

문건을 입수한 이상수(李相洙)의원은“다른 데도 아니고 내부 자료에서 그 정도 차액이 입증된 점을 중시한다”며“검찰 수사에서 미진했던 점을 모두 밝혀내겠다”고 기염을 토하고 있다.

야당측은 구체적으로 매립공사와 발전소 설비 분야에서 거의 누수(漏水)가 없고 소봉.열연.제선.냉연공장및 공통 설비에서 차액이 대량 발생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초기나 말기에 이뤄진 공사는 제대로 시공된 반면 한보가 주도적으로 진행해온 철강설비에서 대부분 부정이 저질러졌다는 것이다.李의원은“시기적으로는 현 정부 출범이후,사업별로는 한보 자체 추진사업에서 비자금이 대거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이 문건은 또 감독기관들에 대한 책임소재 논쟁도 불러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한보측 제보자 말대로 항목마다 15~20%씩 일정 비율을 과다 계상하는 원시적 방법으로 허위 자료를 만들었음에도 채권 은행은 물론 은행감독원.국세청.관련 증권사등이 지금까지 단한번도 공개적으로 문제를 제기하지 않은데 따른 시비다.

그러나 이 문제를 제대로 추궁하기 위해서는 비자금 쓰임새에 대한 좀더 자세하고 분명한 증거들이 뒷받침돼야 한다.현재까지는 야당측도 이 부분에 대해 구체적인 자료를 입수하지 못한 상태다.

그래서 추가 제보에 기대를 걸고 있다.증인들이 답변중 실수를 저지르는 것도 바라는 눈치다. 〈김현종 기자〉

<사진설명>

한보그룹 비서실이 비밀리에 보관하던 당진제철소 최종 투자 계획.B지구의 실투자액이 1월초 정부에 제출한 투자 명세와 판이함을 보여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