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체' 지목 김현철씨 집중겨냥 - 검찰 새진용 한보 전면 재수사 전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검찰이 대검 중앙수사부장 경질을 계기로 한보사건에 대한 전면재수사에 나섬으로써 추가될 수사 대상과 검찰 의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검찰의 수사 핵심은▶김현철(金賢哲)씨 관련 여부▶관계(官界)와 금융계의 한보 커넥션▶정치인 금품 수수등 크게 세가지.

특히 새 수사팀은 종전의'쉬쉬하던'보안위주 태도에서 벗어나“수사의 정도를 걷되 눈치를 보거나 곁을 살피지 않겠다”는 적극적 입장이어서 결과가 주목된다.

◇김현철씨 수사=정치권등에서 金씨를 한보사건의'몸체'로 지목해온 이상 이를 규명하지 않는한 이번 재수사가 의미 없다는게 수사 관계자들의 판단이다.특히 재수사의 가장 큰 원인이 金씨부분 수사 미진 의혹이기 때문에 이 부분을 수사의

핵으로 보고 있다.

이때문에 金씨의 인사개입이나 국정개입 의혹 부분등을 철저히 재조사한다는 방침.

검찰은 金씨의 재산관리인으로 알려진 박태중(朴泰重)씨의 집.회사등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에서“朴씨가 한보철강 설비 도입가격을 실제보다 부풀린 뒤 리베이트 명목으로 2천억원을 받아 金씨에게 제공했다는 의혹을 규명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국회 청문회등을 거친 후 金씨에 대한 직접 조사가 가능한데다 관계 커넥션과도 불가분의 관계여서 金씨 부분은 이 사건의 하이라이트가 될 전망이다.

◇관계 수사=검찰이 이미“한보 은행대출 자료를 은감원이 제출한 것이 아니라 검찰이 요구했다”고 밝힌 것은 수사 강도가 전같지 않음을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특히 검찰 관계자는“시간에 쫓기는 수사에서는 은행장등의 금품수수 여부가 수사 관건이지만 사업 인허가및 대출과정에 대한 조사가 금융사건 수사의 본류”라고 강조하고 있다.또 재수사 착수 이후 첫 소환조사 대상이 은감원 특검 관계자라는

점도 추가 사법처리 대상이 먼저 관계에서 불거질 것이란 예측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지난번 수사에서 밝혀지지 않았던 청와대.재경원.통산부.건교부.은감원등 정책결정 라인에 있던 인사들의 비리 조사가 이번 재수사의 또다른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계 수사=검찰은 정치인 수사 움직임과 관련,“현 단계는 수사가 아닌 진상파악 단계”라고 애써 의미를 축소하고 있다.

김상희(金相喜)수사기획관은“한보 관련 정치인의 금품수수 사실관계는 새 수사팀 구성 이전에 조사됐던 일”이라면서“현재 수사계획을 밝힐 입장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나 수사 실무자들은“한보그룹 정태수(鄭泰守)총회장등이 15대 총선과 6.27 지방선거를 전후해 여야 정치인 20명에게 수천만원대의 돈을 줬다고 진술했었다”고 시인하고 있다.

특히 최병국(崔炳國)전 중수부장은 사석에서“수사도중 수사기밀이 자꾸 새나가 부산.경남(PK)출신 민주계 인사와 경복고 출신 민주계 인사들의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수사결과가 이용당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아 더 이상 수사가 진행될 수 없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따라서 검찰로서는 수사 책임자를 교체한데다 국정조사마저 앞둔 상태여서 정치인들에 대한 추가 수사가 불가피한 실정이다.

정치권에선 이미 신한국당 대선주자 K의원과 국민회의 중진 K의원등 상당수 여야 의원등이 鄭총회장으로부터 돈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정치권에 또다시 한보한파가 불어닥칠 것으로 보인다. 〈김정욱 기자〉

<사진설명>

대검 중앙수사부장 교체를 계기로 검찰이 사실상 한보사건 재수사에 착수한 가운데 중앙수사부 김상희 수사기획관(가운데 서있는 이)이 23일 오후 기자들에게 수사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박순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