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증시 ‘8% 성장 대책’에 달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이달 들어서만 12% 가까이 급등했던 중국 증시가 9일 내림세로 돌아섰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이날 53.03포인트(2.5%) 떨어진 2037.74로 장을 마쳤다. 단기 급등에 따른 차익을 챙기려는 매물이 나온 데다 곧 발표될 지난달 수출액이 7년여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을 거란 전망이 악재로 작용했다. 시장 참가자들이 정부 눈치보기에 나선 것도 이유다. 중국은 8일부터 경제정책 담당자들이 총출동해 ‘중앙경제공작회의’를 열고 있다. 10일 회의가 끝나면 중국 정부의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한 윤곽이 나온다.

◆‘깜짝 대책’ 적을 듯=중국 정부는 최근 각종 경기 부양책을 융단폭격하듯 쏟아내고 있다. 지난달 4조 위안(약 843조원)의 경기 부양책을 내놓은 데 이어 이달에도 은행 자금 확충 지원과 부동산·자동차·농촌 대출 확대 같은 금융 대책을 발표했다. 지난달 말에는 금리를 한꺼번에 1.08%포인트나 내리기도 했다. 이번 회의에서 추가로 대규모 경기 부양책을 내놓기 어려운 이유다. 베이징의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예년엔 경제 관련 회의가 열리면 중간에 내용이 밖으로 흘러나왔는데 이번에는 회의 이틀째인 9일까지 별다른 내용이 전해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회의에서 나올 대책은 감세가 유력하다. 개인 소득세 징수 대상을 줄이는 방안은 확정적이다. 우리투자증권 베이징 리서치센터 주시쿤(朱希昆) 소장은 “현재 월소득 2000위안인 개인소득세 면세점을 3000위안 정도로 올리고, 은행의 법인세율을 깎아줘 세금 부담을 줄여주는 대책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정책 방향 지켜봐야=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은 추가 대책보다 정책의 방향이다. 중국 정부는 최근 ‘바오바(保八·경제성장률 8% 유지)’와 일자리 창출을 가장 강조하고 있다. 현재 중국 도시 지역의 실업률은 4.5% 정도다. 하지만 농촌까지 합치면 적어도 8%는 될 거란 게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실업률이 치솟지 않게 하려면 적어도 연 8%는 성장해야 한다. 중국 정부가 성장률을 유지하기 위해 어떤 조치를 하느냐는 중국은 물론 세계 경제·증시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중신(中信)증권 뤼저취안(呂哲權)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정부가 수출을 늘리기 위해 위안화 가치를 인위적으로 끌어내리진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성장률 8%란 목표도 계속 유지하긴 하겠지만 과거 계획경제 시대처럼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달성하겠다는 건 아닐 것”이라고 덧붙였다.

증시 전망은 아직 조심스럽다. 메리츠증권 심재엽 투자전략팀장은 “단기적으로는 주가가 많이 올라 조정을 받을 수 있겠지만 각종 경기부양책이 내년 증시 안정에는 도움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우리투자증권 주시쿤 소장은 “정부의 부양책 효과가 시간이 갈수록 약해지면서 결국 실물경제와 기업이익 전망에 따라 주가가 움직일 것”이라고 말했다.

김선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