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방송개혁 하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열린우리당이 '신문개혁'에 강한 의지를 나타내자 한나라당은 '방송개혁'으로 맞불을 놓고 있다. 한나라당 김형오 사무총장은 25일 당 운영위원회의에서 감사원의 KBS 특별감사 결과를 거론했다.

그는 "연간 1조원이 넘는 예산을 쓰는 KBS가 방만한 경영을 한 사실이 드러났다"며 "국민세금과 같은 수신료로 운영되는 KBS가 엉터리로 운영된 데 대해 KBS 사장이 책임지고 사퇴하는 게 도리"라고 주장했다. "앞으로 공영방송의 민영화 방안을 필두로 방송이 새로 자리 매김하는 계기를 만드는 데 앞장서겠다"고도 했다.

한나라당은 신속하게 움직였다. 박근혜 대표는 이날 당내에 언론대책특위를 구성하는 것을 승인하고 남경필 의원을 위원장에 임명했다. 朴대표는 기자들에게 "특위에서 방송개혁 전반에 대해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은 그동안 여권이 추진하는 언론개혁과 관련해 시차를 두고 대응한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KBS에 대한 감사원 특감 결과가 이런 분위기를 바꿔 놓았다. 남경필.원희룡.정병국 의원 등 소장 개혁파는 "여권의 언론개혁에 대해 한나라당이 주도적으로 나서자"고 공세적 대응을 요구했고, 지도부도 이를 수용했다.

특위위원장에 임명된 南의원은 공영방송 민영화 등이 부를 파장을 의식한 듯 일단 원칙과 객관성을 강조했다. 그는 "신문과 방송, 인터넷을 총괄해 언론 전체의 문제점과 발전방향을 논의하는 특위를 이끌겠다"고 말했다. 특위 구성과 관련해선 신문.방송 등 언론인 출신을 최소화하겠다고도 했다.

南의원은 특위에서 신문개혁 방안도 연구한다는 입장이지만 특위의 무게중심은 방송개혁에 있음이 분명하다. 南의원도 "공영방송의 민영화 부분이 특위에서 논의할 주요 의제인 것만은 분명하다"고 했다. 특위 위원으로 내정된 박형준 당선자는 "언론개혁은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맞춰 산업경쟁력을 강화하는 쪽으로 이뤄져야 한다"면서 "신문보다 방송의 영향력이 더 커지는 추세를 감안할 때 방송의 편파성이 더 큰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 때문에 정치권의 논의가 진전되면 될수록 열린우리당의 신문개혁과 한나라당의 방송개혁은 대립각을 형성할 가능성이 크다.

한나라당에선 방송사 민영화 방안 외에 방송위원을 국민선출 방식으로 뽑는 등의 방안을 검토 중이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