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칼럼>PDA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스타워즈'와 같은 SF영화를 본 사람들은 휴대용 통신기기의 편리성과 재미를 체험했을 것이다. 개인휴대단말기(PDA)는 휴대폰은 물론 명함 관리와 연계된 팩스통신.전자우편,심지어 스케치북 기능까지 갖춰 언제 어디서나쓸 수 있는 소형 전자개인비서시스템이다. PDA는 사용자가 쓴 키워드로 원하는 바를 판단,필요한 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한다.이것의 가장 큰 장점은 컴퓨터 전문용어를몰라도 이용 가능해 기성세대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최근의 시장전망 자료에 따르면 2000년대 세계 시장 규모가 5천만대에 달해 PC시장에 필적할 정도로 성장이 예상된다. 미국 애플컴퓨터사와 일본 샤프사가 공동개발한.뉴턴'의 경우 스크린에.A씨와 점심약속'이라고 써넣기만 하면 뉴턴이 그 문자를 컴퓨터언어로 해독한 다음 A씨 신상을 파악해 일정표에 점심약속을 집어넣는다.약속 전날 그 사실을 환기시켜주 는 것은 물론 A씨에게 팩스를 보내 약속을 환기시킬 수도 있다.최근 국내에서도 전자수첩.팩스.무선호출.휴대폰 기능을 하나로 합친 PDA가 생산돼 시판되고 있다. PDA는 전화기도 아니고 컴퓨터도 아니다.그러나 닌텐도.세가.게임보이등을 만지며 자란 요즘 세대에는 비디오카세트가 TV세대에 끼쳤던 것과 유사한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다. 또 PDA는 전자펜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향후 PDA시장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소형.경량화와 문자인식률의 향상,뉴스.기상.금융정보등 다양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하는 기능개선이 필요함은 물론이다. 표현명(한국통신 차세대무선 연구실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