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합격 전략

중앙일보

입력

김포외고 합격 입시전략 하늘교육 임성호 이사

올해 외고들은 특별·일반전형을 동시에 실시한다. 경기권 외고 중 동두천·성남·수원·안양·용인외고는 특별·일반전형에 상관없이 한 전형에만 지원이 가능하다. 반면 김포외고는 고양·과천·명지외고와 함께 성적우수자 전형 탈락 시 일반전형에 자동 지원돼 2번의 지원기회를 갖게 된다. 또 서울권외고 지원자 가운데 상당수가 경기권 외고에 1차 지원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금년도 김포외고 성적우수자는 전년도 경쟁률 1.89대 1에 비해 대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는 경기권 외고 탈락 후 서울권 외고의지원이 가능하기 때문에 학교내신도 높고 학업적성검사 실력도 우수한 학생들이 상위권 외고에 소신 지원할 가능성이 크다. 반면 학교내신은 좋지만 영어·언어 등 학업적성검사 실력이 다소 부족한 학생들은 서울권 외고로의 지원기회를 고려한 소신지원보다는 김포외고 등의 중위권 일반전형에 안정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김포외고는 외국어 우수자 전형에서 영어 4명, 중국어 4명, 일본어 4명을 선발한다. 탈락 시 일반전형에 자동 지원되는 성적우수자와 달리 외국어우수자 지원자는 한 영역에만 지원가능하기 때문에 타 외고에 비해 큰 장점이 없다. 따라서 금년도에도 전년도 경쟁률인 4.19대 1정도의 경쟁률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김포외고는 성적우수자, 일반전형 모두학교내신 합격선이 상승할 것으로 관측된다. 성적우수자 전형은 경쟁률 상승이 합격선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며 일반전형의 경우 성적우수자탈락자와 함께 전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교내신 합격선은 전년도에 비해 높아질 전망이다.
 김포외고 일반전형 학업적성검사는 영어듣기 30점, 영어독해 30점, 언어능력평가 40점으로 총 100점 만점인데 언어보다는 영어영역의비중이 높은 편이다. 따라서 김포외고에 지원하고자 하는 학생들은 남은 기간 영어실력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명덕외고 입시경향 및 분석 잉글리쉬채널주니어 본원 이윤정 원장

명덕외고는 오래 전부터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인정받아 온 인기가 높은 학교 중 하나다. 이번 2009학년도 입시는 12월 이후로 조정돼 특별전형과 일반전형이 동시에 이뤄진다. 특별전형은 외국어 우수자와 교과 성적 우수자, 2개의 전형으로 축소됐고 모집인원도128명에서 60명으로 줄어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교과성적 우수자 전형의 지원 자격은 전 과목 석차 및 가중치 석차백분율이 10% 이내로 작년과 동일하며 외국어우수자 전형은 전 과목 석차백분율 30% 이내로 변경됐다. 영어실력은 우수하지만 상대적으로 내신이 불리하다면 외국어우수자 전형을 고려해야 한다. 외국 체류기간이 길어 학교성적이 낮고 구술면접이나 학업적성검사 등에 자신이 없는 학생들에게 적합하다. 일반전형 모집인원은 292명에서 360명으로 확대됐다. 중학교 내신 성적 75%(교과 성적160점·가중치 100점·봉사활동 20점·출석상황 20점), 영어듣기 12.5%(50점)와 구술면접12.5%(50점)을 합산해 합격을 결정한다. 작년에 비해 내신 성적의 비중이 높아지기는 했지만 대부분 최상위권 학생들이 지원하는 만큼 최종 합격여부는 영어듣기·구술면접에서 판가름 날 것으로 예상된다. 내신이 다소 불리하더라도 영어듣기·구술면접시험에서 만회가 가능하므로 끝까지 집중력을 발휘해야 한다.
 2008년 영어듣기·구술면접의 평균점수가2007년에 비해 하락한 것을 볼 때 이번 입시의 영어듣기·구술면접 수준은 예년에 비해 조금 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입시 경향은 구술면접보다 영어듣기에서 점수 차가 더욱 크게 나는 추세다. 다시 말해 영어듣기에서 고득점을 얻는다면 합격 가능성이 더욱 커지는 셈이다. 영어듣기의 경우 작년과 유사하게 이해력·판단력·종합적인 사고력을 측정하는 방향으로 출제되고 난이도는 조금 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장문의 글이나 긴 대화체를 듣고 전체적인 주제를 찾는 연습을 많이 해야 한다.구술면접은 전반적인 언어영역의 실력을 쌓을 수 있는 공부가 필요하다. 수학·과학의 개념을 접목시켜 풀 수 있는 사회영역의 문제들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통합교과 유형의 문제들을 많이 다루어 보는 것이 필요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