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북한도발 강경대응 의지-유엔司,對北경고 서한의 뜻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유엔사(UNC)의 북측에 대한 경고서한 전달은 앞으로 유엔의이름으로 북측 도발에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유엔사측이 경고서한에서 『한국에 대한 어떠한 무력도발에도 강력히 대처해 나갈 것』이라는등 이례적으로 강한 표 현을 구사한 것도 그같은 의지를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경고서한 전달은 또 이번주중 유엔 안보리가 최근의 북한 도발행위를 공식회의에 회부하려는 움직임과도 맞물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북한에 대한 외교적 압박을 확실히 가해 「딴짓」을 못하도록 쐐기를 박으려는 것이다.
특히 미국 주도의 유엔사가 북한에 대해 경고하고 나선 것은 단순히 정전협정체제 유지차원을 넘는 메시지가 담겨있다는 분석이다.북한이 한.미간에 이간을 붙이고 북.미간 직접대화를 시도하는 움직임에 제동을 걸려는 판단도 작용하고 있다.
특히 『윈스턴 로드 미국무부 동아태담당차관보가 방한(訪韓),한국측과 북한의 무장공비침투사건에 대해 논의한다』는 발표와 바로 이날 밤 존 틸럴리 한미연합사령관이 북한의 도발에 대한 강도높은 격퇴의지를 천명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틸럴리 사령관의 연설이 잠수함 침투사건전 이미 예정된 것이라지만 그것이 의미를 희석시키는 것도 아니다.
이번 경고 서한은 또한 무장공비 침투사건 직후 워런 크리스토퍼 미 국무장관이 『모든 당사자(All Parties)에 책임이 있다』고 밝히는 등 다소 어정쩡한 입장을 보여온 미국이 한국 지지로 방향을 완전히 선회했음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물론 북한의 무모한 도발은 우리(미국)가 견제할 테니 한반도 긴장고조를 초래할 경수로 사업 유보니 하는 대북 강압책을 지양해 달라는 한국에 대한 완곡한 당부가 깃들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아무튼 한국에 보복할 때 미국이 간 여하면 미국에 대해서도 보복하겠다는 북한의 협박과 한.미 이간에 대한 우려는 일단 해소된 셈이다.
북한은 그러나 유엔사의 경고서한 접수를 사실상 거부함으로써 한반도 긴장 국면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지난 2일의 군사정전위 비서장급 접촉에서 『가까운 시일내에 보복하겠다』고 한 입장에 전혀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국 방부 관계자는 『북한측은 유엔사의 경고서한등 유엔차원의 압박이 가해지면서또 다른 강성 성명을 내놓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진단하고 있다.
김민석.오영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