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16명째 노벨상 받은 일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일본이 통산 16명째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그동안 물리학상 7명, 화학상 5명 등 특히 과학 분야에서 12명의 수상자를 냈다. 이 같은 성과는 두터운 연구층과 실험 인프라뿐 아니라 정부 차원의 강력한 지원이 큰 몫을 했다.

일본은 2001년 제2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정책 목표의 하나를 ‘국제적인 과학상의 수상자를 구미 주요국 수준으로 배출할 것(50년간 노벨상 수상자 30명 정도)’으로 설정하고 집중적인 지원을 계속하고 있다.

올해 상을 받은 ‘고바야시-마스카와 이론’을 증명하는 데는 일본 고에너지 연구소가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고 한다. 2002년 고시바 교수가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것도 초거대 실험장치인 ‘카미오칸데’ 검출기를 건설해 중성미자를 확인할 수 있었던 덕분이다.

기초과학의 수준이 곧 국력이자 경쟁력인 시대다. 노벨상 수상자 확보는 국가 브랜드의 가치를 높인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하지만 우리의 현실은 안타깝기만 하다. 우선 고급 인력이 부족하다. 2004년 기준 이공계 박사학위 소지자는 18세 이상 인구의 0.4%로 유럽연합 19개국 평균(0.6%),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0.5%)에 못 미친다. 앞으로의 전망도 밝지 않다. 우수한 학생들은 이공계를 기피하고 당장 취업 전망이 좋은 문과 계열이나 의대로 몰린다. 지난 5년간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수상자 98명의 47%인 46명이 국내 의과대학에 진학한 것이 이를 증명한다. 학비·연구비 지원에서 취업·보수 등에 이르기까지 사회적·경제적으로 이공계를 푸대접하기 때문이다. 외국에서 학위를 받고 귀국하는 이공계 박사가 2003년 919명에서 지난해 604명으로 줄어든 것은 달리 해석하기 어렵다.

경제규모 세계 10위권에 걸맞은 과학기술 강국이 되기 위해 우리나라도 전략적으로 노벨상 수상자를 키워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과학기술을 우대하는 사회적 여건, 기초과학 연구에 대한 대규모 투자, 독창적 연구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다. 정부 차원의 강력한 지원 없이는 성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게 과학 분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