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소비자를 볼모로 한 서비스업종 '휴업'경고 난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최근 사회 곳곳에서 소비자를 볼모로 한 서비스업종의 「휴업」경고가 난무하고 있다.
『먹고 살기 위해 어쩔 수 없다』거나 『더 이상 못참겠다』는등의 이유를 내세운 자구책이라지만 소비자들은 불쾌하고 짜증스럽다는 반응이다.
부산가스판매협동조합(조합장 문남주)은 지난 5일 『정부가 10월10일까지 가스판매 가격을 ㎏당 60원씩 올려주지 않을 경우 자체적으로 인상한뒤 제재를 가하면 3백90여 회원업체가 집단휴업키로 했다』고 엄포를 놓은 상태다.
「집단휴업」경고는 이어 지난 7일 한국LP가스판매조합연합회에서 전국 단위의 행동강령으로 채택된 상태다.
가스판매업계는 『인건비가 올라 현행 가격으로는 수지가 맞지 않아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다.
한국주유소협회도 지난달말 『정유회사들이 7월부터 기름 공급가격을 올리고 외상거래 기간을 단축한 것을 철회하지 않으면 전국8천여 업소가 10월부터 휴업하겠다』고 밝혔다.
협회는 『5개 정유회사가 기름값 외상기간을 7월부터 90일에서 70일로 줄이고 값도 드럼당 3백~5백원씩 올려 수익감소로인한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전국부동산중개업협회(협회장 김부원)는 지난 6일 성명을 발표,『정부가 최근의 전세값 폭등 책임을 대도시 부동산중개업소에 떠넘겨 서울과 부산지역 일부 부동산중개업소에 대해 세무조사를 실시하고 있다』며 『정부가 부동산중개업소에 대한 부당한 대우를 계속할 경우 집단휴업도 불사한다』고 밝혔다.
대구지역 유흥음식점업계도 지난달 20일 『다른 지역은 심야영업을 해제하는데 대구지역은 왜 안하느냐』며 대구시에 ▶영업시간철폐나 ▶오전2시까지 연장등을 건의하면서 『요구가 받아들여지지않을 경우 집단휴업도 불사할 방침』이라고 밝혔 다.
한국소비자연맹 부산지부 하은자(河銀子)지부장은 『이해 당사자끼리나 정부와의 문제가 원만하게 해결되지 않는다고 해서 소비자를 볼모로 해 휴업하겠다는 것은 소비자를 무시하는 처사』라며 『소비자에게 심적 부담을 주는 「휴업 경고」풍조는 사라져야 할때』라고 지적했다.
부산.대구〓강진권.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