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각 자치구.군 생활쓰레기 줄이기 비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부산시가 다음달부터 구청별 허용량을 넘어서는 쓰레기에 대해서는 매립장 반입을 통제키로 함에 따라 각 자치구.군에 생활쓰레기 줄이기 비상이 걸렸다.
부산시는 93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생활쓰레기 10% 줄이기운동」이 당초 예상보다 훨씬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자 각구의 허용량을 초과한 쓰레기는 매립장 반입을 통제키로 방침을 정했다.
8월20일 현재 부산시 전체 반입쓰레기는 하루 2천9백51으로 허용량 2천6백85을 10% 초과했고 구별로는 강서구가 27,북구가 1백71이 반입돼 각각 허용량을 29%,15%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반입 쓰레기는 지난해보다 하루 1백73이 줄었으나 감량목표 10%에 훨씬 못미치는 5.8% 줄이는데 머무르고 있다. 이에 따라 사하구청은 홍보활동의 일환으로 「분리가 되지 않았다」「물기가 너무 많았다」는 「성적표」형식의 스티커를 3만장가량 제작해 각 가구의 쓰레기 수거 지점에 붙이기로 했다.
사하구청 하태성 재활용계장은 『자치구 탄생 이후 쓰레기줄이기를 계속 호소해왔으나 제대로 안된게 사실』이라며 『26일부터 다음달말까지 이같은 홍보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사상구청은 음식물쓰레기의 70%가 물기인 점에 착안해「음식물의 수분을 없앤뒤 버리자」는 내용의 스티커를 5천장 만들어아파트출입구.음식점.집단급식시설 등에 붙이기로 했다.
사상구청 청소과 최재호 담당은 『물기의 25% 정도만 제거해도 쓰레기양을 큰 폭으로 줄일 수 있고 여름철 주택가 악취의 원인이 되는 쓰레기 오수(汚水)도 없앨 수 있다』고 말했다.
연제구청은 현재 벌이고 있는 「음식쓰레기 퇴비화」운동을 널리알리기 위해 2백50명의 가정주부를 홍보요원으로 위촉해 아파트부녀회나 반상회등을 통한 홍보활동에 힘쓰고 있다.
부산=이재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