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내 생각은…

에너지 위기, 원자력이 해답이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정부는 “추경안이 처리되지 않으면 전기와 가스 요금의 추가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전력 수급 구조에서 자명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우리나라의 전력 생산 인프라를 살펴보면 유가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원자력 비율은 40% 미만이고, 유가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을 수밖에 없는 발전원이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석탄 화력이 있지 않으냐고 반문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모르는 말이다. 유가가 상승하면 석탄에 대한 수요가 늘게 돼 가격이 상승하게 되고 석탄에 대한 운송비 또한 증가돼 유가의 영향을 고스란히 받게 된다.

지금 대안은 원자력이다. 최근 유가가 다소 안정된 추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굳이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앞으로 얼마든지 150달러 이상을 넘나드는 고유가가 언제 또다시 닥칠지 모른다는 것을 미리 경험했다.

풍력, 바이오매스, 조력 발전 등 자연친화적인 발전원을 늘려 고유가에 대비하자는 목소리도 있다. 우리 경제가 어느 정도 안정권에 접어들어 전력 소비가 예전처럼 폭발적으로 증가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지만 올여름을 뒤돌아 보라. 어김없이 사상 최대의 전력 수요를 갱신했다. 자연력을 이용한 발전으로는 그 수요를 따라잡는 데 한계가 있다. 물론 친환경 발전원의 비중을 꾸준히 늘려야 하겠지만 일정 범위 내에서 비중을 확충해 가야지 전력 수요 증가분만큼을 풍력이나 조력 발전 등으로 메우겠다는 발상은 논의의 가치가 없어 보인다.

30년 이상 안전하게 운영해 온 원자력 발전에 대한 막연하고 근거 없는 오해들을 이제는 벗어던져야 할 때다. 멀지 않은 시기에 도래하게 될 남북 통일에 대비한 전력 수요 전략을 위해서도 원자력은 최선의 대안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유지수 부산시 기장군 장안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