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들의 추석 귀향일기] 영남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10점 만점에 평균 2.8점. 이번 추석 연휴 기간 지역구에 내려간 여섯 명의 여야 의원(한 명은 원외)이 전하는 지역의 체감경기지수다. 한마디로 죽을 지경이란 얘기다. 귀향 활동 중 여당 의원들은 “경제를 살리라고 대통령 뽑아 줬더니 이게 뭐냐”는 호통 때문에, 야당 의원들은 “야당도 잘한 것 없다”는 질책 앞에 고개를 들 수 없었다고 입을 모았다. 이처럼 성난 민심을 어떻게 달래야 할지 정치권의 고민이 깊어 가고 있다.

너무 힘들다는 주민 앞에 좋아진다는 말도 못 꺼내
유승민 한나라 의원


“죽겠다. 살기 싫다.” 추석을 앞두고 가장 많이 들었던 주민들 목소리다. 사는 게 너무 힘들어 죽겠다는데 할 말이 없었다. “너무 힘들지예. 힘들어도 추석날 하루는 좀 푹 쉬이소.” 이 말밖엔 못했다. 내년 말께 되면 경제가 좋아질 거라는 식의 말은 차마 나오지 않았다. 경제 하나는 살리겠지 싶어 찍어준 유권자들의 인내심도 이제 바닥이 보였다.

대구·경북은 정말 어렵고 민심은 사납다. 이 정권에 전국 최고의 압도적 지지를 보내고 15년 야당 생활을 끝낸 곳이 대구·경북이다. 남들보다 더 컸던 기대만큼이나 지금은 실망과 배신감도 더 크다. “그따위밖에 못 하나. 지발 좀 똑바로 하소.” 이게 지역민심이었다. 선술집에서 소주·막걸리 얻어 마시면서 한나라당과 이 정권에 퍼붓는 거친 욕설을 들어야 했다. 설상가상으로 불교 뿌리가 깊은 대구·경북은 최근의 종교사태도 민심 악화에 영향을 주고 있다. 국회의원은 욕을 먹으면서 바닥민심을 알게 된다. 정권교체만 되면 살판이라도 날 것처럼 10년간 목이 터져라 외쳤던 내 자신이 대국민 사기를 친 것 같은 죄스러운 마음이 들었다. 이 정부와 한나라당이 지금부터 해야 할 일은 대선 후 지난 9개월 동안 잘못을 뼈저리게 뉘우치고 남은 임기 동안 똑바로 잘하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대오각성하는 길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대선 때 열광적 MB 지지
화이트칼라 반응 싸늘해
최구식 한나라 의원


추석을 맞아 중앙시장을 중심으로 많은 곳을 찾았다. 예년보다 덜 붐볐고 활기도 떨어졌다.

시장에선 이명박 정권의 성공을 간절히 기원하고 있었다. 대통령이나 권력자들을 위해서가 아니라 정권이 성공해야 자신과 가족의 살림이 조금이라도 나아진다는 사실을 본능적으로 깨닫고 있는 것 같았다. 이해가 안 가는 새 정부의 잘못들에 대해서도 애써 이해해주려 노력한다는 느낌도 받았다. 노점에서 야채를 팔고 있던 한 상인은 “앞에서 잘못한 것이 너무 많아 대통령이 뭘 하려고 해도 쉽지 않았을 것”이라며 “배울 만큼 배웠을 테니 앞으로 잘하겠지”라고 말했다. 화이트칼라의 반응에는 온도 차가 있었다. ‘잘할지 두고 보겠다’거나 ‘잘되겠나’라고 노골적으로 말하는 사람도 적지 않았다. 그들 역시 대선 때 열광적인 지지층이었다.

진주 시민들이 화가 난 결정적인 계기는 혁신도시 문제다. 매년 3000명 가까이 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혁신도시에 희망을 걸고 있었는데 ‘우리 사위의 정부’가 들어서자마자 혁신도시를 무산시키려 한다며 격렬하게 반발했다. 서운함·불안감·짜증 등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새 정부 앞에 두 갈래 길이 있는 것 같다. 겸손하게 국민과 함께 가는 길과 오만하게 좌충우돌하는 길, 내 눈에는 앞의 길이 훨씬 넓어 보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