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생태연못 ‘둠벙’복원사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전남도가 친환경농업 육성을 위해 생태연못 ‘둠벙’ 복원사업을 추진한다.

둠벙은 천적의 서식처를 제공하고, 수질을 정화시켜 농경지 생태계를 건전한 습지 생태계로 되돌려 놓는 역할을 한다. 전남도는 둠벙이 생태를 되살림은 물론 친환경체험학습장 및 농촌관광자원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현재 도내에 있는 둠벙은 1003곳이고, 도는 105곳을 친환경적인 생태 복원이 가능한 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

도는 지난해 순천 별량면 해창지구 등 12곳을 복원한 데 이어 올해는 10곳을 대상으로 2억8500만원을 들여 사업을 하고 있다. 수변 식물을 심고 토종 어류를 넣는 한편 곤충들을 위해 통나무 말목을 설치하는 것 같은 작업을 한다.

무안군 몽탄면에 사는 박광일씨는 “경지정리 등 농업시설 현대화에 따라 자취를 감췄던 둠벙이 되살아나면서 붕어·미꾸라지 등이 늘고, 이들을 먹이감 삼아 백로·왜가리 등이 날아들고 있다”고 말했다.

김문식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지난달 농경지 등 237곳의 일반농업용수를 조사한 결과, 질소 농도와 화학적 산소요구도, 인산염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친환경농업 육성과 둠벙 복원이 효과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생명식품생산 5개년 계획 4년 차인 올해 2961억원을 투입, 흙 살리기와 유기농전문단지 조성 등 20개 사업을 추진해 무농약 이상 인증면적을 총 경지면적의 25%인 7만9000ha까지 늘리기로 했다. 2009년까지 경지면적의 30%인 9만8000ha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해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