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택가 주차장 확보 비상-거주자 우선주차제 내달시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이달부터 서울시내 곳곳 단독주택과 빌라 밀집지역에서 대문.담장을 헐어내는 공사가 시작된다.뿐만 아니라 주택가 곳곳의 소공원 지하도 조만간 주차장으로 바뀔 전망이다.
7월부터 시내 전지역에서 시행되는 「거주자 우선주차제」를 앞두고 서울시내 일선구청들이 주택가 주차장 확보전쟁에 돌입한 것이다. 서울시도 구청별로 주차장 확보를 위해 가능한 모든 방법을 강구토록 지시공문을 보냈다.
주택가 주차난은 서울시내 전역이 똑같은 사정이지만 그중 가장심각한 곳은 강북지역.
강북구의 경우 5월말 현재 차량등록대수가 5만6천여대인 반면주차시설은 등록대수의 53.7%인 3만여대에 불과하다.이때문에골목길 주차공간 확보를 위한 주민간의 다툼이 끊이지 않았다.
강북구는 자기주차장이 없는 단독주택이나 빌라등에서 대문이나 담장을 헐고 주차장을 설치할 경우 설치비용(1백만원 안팎)의 30%정도를 구청에서 무료로 대주기로 하는등 「내주차장 갖기운동」을 펴고 있다.
구청이 담장헐기등의 운동을 벌이기로 한 것은 최근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현재 자동차가 없는 가구의 54%가 3년안에 자동차를 구입하겠다고 응답하는등 골목길 주차사정이 더욱 나빠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따른 것이다.
공공주차장은 1대분을 설치하는데 3천여만원의 막대한 자금이 소요되는데다 마땅한 부지도 없어 구청으로서는 고육지책인 셈이다. 구청의 이같은 노력에 호응해 현재까지 수유4동 관내 60가구가 주차장을 설치하겠다고 신청해 왔다.
강북구는 올해 5백가구를 목표로 1차 추경예산에 5천만원을 확보한데 이어 서울시에도 특별교부금 1억원을 신청했다.
서초구는 주차장 확대를 위해 관내 3개 어린이놀이터(총면적 3천6백평방)지하에 주차장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서울시에 건의했다.현행 서울시 공원관리지침상 면적 3천평방 미만의 소규모 공원은 시설훼손및 안전사고등을 이유로 지하 주차장 설치가 금지돼 있다.
최준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