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8·15 경축행사에 찬물 끼얹은 야 3당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민주당·민노당·창조한국당이 8·15를 맞아 열린 정부 경축행사에 불참하고 대신 김구 선생의 묘소를 찾았다. 백범은 광복의 날에 참배해야 할 독립운동가임에 분명하다. 그러나 굳이 정부 공식행사에 불참해야 했을까. 불참 이유가 옹색하다.

정세균 민주당 대표는 “역사를 왜곡하려는 잘못된 시도가 있어 분명하게 문제를 제기하려고” 정부 행사에 불참하고 백범을 찾았다고 말했다. 정부에서 8·15를 ‘건국절로 덧씌움으로써 역사를 왜곡하려 한다’는 취지다. ‘대한민국은 상해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헌법 구절을 인용하면서 정부가 법통을 무시하는 것처럼 비판했다.

그러나 야당의 주장은 사실관계부터 맞지 않다. 정부의 공식행사 명칭은 ‘63주년 광복절 및 대한민국 건국 60년 중앙경축식’이었다. ‘건국절’이란 말은 없다. 8·15의 공식 명칭이 광복절이기 때문이다. 동시에 대한민국 정부가 만들어진 날이기에 ‘건국’이란 말이 들어갔다.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한민족의 역사가 임시정부와 광복을 거쳐 대한민국으로 계승되는…”이라며 ‘임정의 법통’을 확인했다.

더욱이 정부에서 주관하는 경축식은 정권이나 정당 차원의 행사가 아니라 국가적 기념식이다. 그래서 3부 요인과 각 정당대표가 모두 초대된다. 국가를 구성하는 한 제도적 장치인 야당이라면 마땅히 참석해야 맞다.

물론 이명박 정부에서 오해를 살 움직임을 보인 것은 사실이다. 8·15 기념행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건국절’을 만들자고 주장해온 뉴라이트 계열 학자들의 목소리를 주로 경청했다. 명칭에서도 ‘건국 60년’만 주로 부각됐다. 한나라당 의원 13명이 광복절을 건국절로 바꾸자는 법안을 제출했다.

하지만 이런 움직임으로 예단해 거국적 경축행사에 불참한 야당의 결정은 설득력이 없다. 야당은 현정권의 역사인식을 비판할 수 있다. 국회 심의과정에서 여론을 수렴하고 법안의 부결을 주장하면 된다. 8·15는 명칭 한 획을 바꾸기 위해서라도 광범한 논의와 국민적 합의가 필요한 민족사적 대사건이다. 원 구성도 못한 채 국회 밖으로 나돌던 야당이 8·15 경축행사에 찬물까지 끼얹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