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일기>票心 현혹하는 '동네 공약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15대 총선 유세전에서 일부 후보들의 공약을 듣고있노라면 이번 선거가 구청장이나 구의원을 뽑는 선거가 아닌가 하는 착각을불러일으킨다.
『4차선인 집앞도로를 6차선으로 확장하겠습니다.』 『맞벌이 부부가 많은 이 동네에 24시간 운영되는 어린이집을 만들겠습니다.』 『인문계 고등학교를 반드시 유치하겠습니다.』 구청장.구의원선거에서나 어울리는 선심성 동네 공약들이 끝도없이 이어지고있다.용산선거구에서 A후보는『동네유치원건립.도로확장.아파트재건축을 자신의 공로』라며 생색내기에 바쁘다.
이에 대해 상대방후보는 A후보가 실제로 지역사업에 얼마나 기여했는가를 구청에 질의하는 촌극도 벌어지고 있다.
B후보는 이미 서울시가 발표한 「용산을 주거지역.상업지역등으로 분류하는 상세지구화계획」을 공약으로 내걸고 있다.
또 일부 후보는 도시계획지구로 지정돼 재건축행위가 규제되고 있는 지역의 아파트단지를 찾아가 『당선만 시켜준다면 도시계획과상관없이 빠른 시일안에 재건축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유권자를현혹하고 있다.한 지역의 대표로 뽑혔다면 지역 발전에 앞장서는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일는지 모른다.
그렇다하더라도 구청장이나 지방의원이 나서서 할일을 내가 하겠노라고 약속하는 것은 아무래도 모양이 좋아보이지 않는다.국회는나라를 다스리는 법을 만들고 국정을 논하는 입법기관이다.때문에유권자들은 국가경제 안정,복지국가 실현,밝고 맑은 정치 실현등좀더 원대한 국가경영의 비전을 제시하는 선량을 원한다.구청장이나 국회의원이 하는 일이 엇비슷하다면 엄청난 국가재정을 낭비하며 총선을 따로 치를 필요가 없지않은가.
〈용산에서〉 양선희 기동취재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