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만의 학습법을 개발하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김정수(42·정신과 전문의) 박사의 병원에는 ‘공부하기 싫다’ ‘공부를 하는데도 성적이 오르지 않는다’는 고민을 안고 오는 이들로 북적인다. 공부 때문에 생기는 학생·학부모의 스트레스를 실감케 한다. 이런 환자(?)들에게 김 박사는 “마음가짐을 바꾸면 성적은 오른다”고 단언한다. 최근 ‘100등을 1등으로 만드는 공부클리닉’을 펴낸 김 박사에게 전교 1등 되는 비결을 들어봤다.


절실한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김 박사는 자신의 진료경험을 바탕으로 이 책을 썼다. 공부 외에 가정불화와 심리불안 등으로 병원에 들렀다 상담을 받은 뒤 성적이 덩달아 오르는 학생들을 많이 봤다고. 그는 “공부법과 학원선택 등도 물론 중요하겠지만, 심리적 안정감과 공부하려는 의지가 우선임을 느꼈다”고 말했다. 정서적 안정을 찾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현상태를 알아야 왜 성적이 안 오르는지, 왜 공부하기 싫은지를 찾아낼 수 있다.
  ‘공부해야겠다’는 마음이 드는 건 사람마다 시기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단, 자신 혹은 부모에 의해 심리적 압박을 받게되면 시기가 늦어질 수 밖에 없다.
  마음가짐을 갖기 위해서는 목표가 세워져야 한다. 그는 “목표야말로 현재를 이끌어가는 원동력”이라며 “단기적인 목표는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가능한 것으로 세우는 게 좋다”고 강조했다.

집중력을 키워라
  집중력을 ‘선천적인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김 박사는 “체형이나 체력도 선천적이지만, 운동을 통해 좋게 만들 수 있다”며 “집중력도 훈련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고 말했다. 공부할 때는 내 모든 열정을 공부에만 쏟는다고 생각해야 한다는 것. 그 순간을 느끼고 즐기는 습간을 들이면 집중력은 길러진다. 게임이 즐거운 이유는 항상 새로운 임무가 주어지고, 성공하면 일정한 보상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공부를 하면서도 자신과 게임을 하듯 일정한 임무를 주고 이를 달성했을 때 스스로 보상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한 이유다.
  슬럼프를 겪는 수험생들에게 김 박사는 “열정이 식었을 땐 쉬라”고 말한다. 집중력이 떨어지면 공부의 능률이 오르지 않는다. 그때는 잠시 쉬면서 내가 공부해야 하는 이유를 주입시키는 게 좋다. 또 시간을 잘게 쪼개 활용하는 것도 좋다. 3시간씩 앉아있는 것보다 40~50분 단위로 쪼개 휴식과 공부를 반복해야 한다. 그는 “걷기 · 명상 · 복식호흡 등을 통해 순간에 몰입하는 방법을 익히면 공부에 큰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공부법에는 왕도가 없다
  “공부법 종류는 학생수 만큼 있다”는 게 김 박사의 지론이다. 공부법에는 왕도가 없다. 공부를 잘 하는 선배의 학습법만 맹신했다간 낭패보기 십상이란 얘기다. 무엇보다 자신에게 맞는 공부법을 개발하는 게 중요하다. 성격과 체질을 먼저 파악하고, 중학교 졸업 전까지는 여러 방법으로 공부하면서 과목별로 자신에게 맞는 학습법을 찾아내야 한다.
  공부는 많이 하는 데 성적이 안 나오는 건 비효율적으로 공부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그는 “어떤 공부법이 좋은 공부법이라고 말하는 건 곤란하다”며 “다만 공부할 때는 공부만 하고, 책상은 공부할 때만 사용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프리미엄 최석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