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콤 現경영진 경영권 방어착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데이콤 경영권을 두고 LG.동양 등 대기업간 신경전이 뜨거운가운데 데이콤 현경영진이 경영권을 지키기 위한 정관 개정을 추진하고 있어 이달중 있을 정기주주총회를 계기로 파문이 예상된다. 데이콤(대표 孫益壽)현 경영진은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는 경영체제 확립을 위해▶비상임 사외(社外)이사제 도입과▶사장추천위원회 설치를 오는 22일 주주총회에서 정관개정을 통해 관철한다는 방침이다.
사외이사제는 투명경영을 위해 교수.전문컨설턴트 등을 비상임이사로 임명하는 것으로 최근 현대그룹내 일부 계열사가 국내 최초로 도입한 바 있다.
데이콤이 마련한 사장추천위원회는 사외이사 중에서 추대된 1명을 위원장으로 하고 대주주측 3명,소주주측 1명,정보통신부 추천 1명,소비자단체 등 공익대표 2명,그리고 사장등 9명으로 구성된다.초대 이사장 겸 위원장에는 윤동윤(尹東潤 )전체신부장관등 2~3명이 물망에 올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데이콤 경영진은 이같은 제도가 도입되면 대주주 단독 경영이어렵게 돼 경영과 소유의 분리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어 동양.LG등 대주주사의 반응에 재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데이콤 관계자는 『공식적으로 데이콤 주식 최대지분 보유기업인 동양(9.85%)과 삼성(9.38%)은 현재 데이콤 안에 찬성하는 입장』이라고 말했다.공식지분 9.35%와 비공식 지분을 포함,이 회사의 최대주주로 알려지고 있는 LG는 현경영진이 제시한 소유.경영분리안에 부정적인 의사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데이콤은 지난달 말 이사회를 갖고 이같은 내용의 정관개정안을 정기주총 안건으로 상정키로 했지만 30% 이상(데이콤추정)의 지분을 가진 LG가 반대할 경우 관철이 어려울 전망이다.데이콤 정관에 따르면 경영권 개편등 중요한 사항의 정관 개정은 의결권 있는 주주 과반수 출석과 출석주주 3분의2 이상의찬성이 필요하다.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르면 대주주의 데이콤 지분은 10%로 제한돼 있다.데이콤 이사회는 현재 상임 11명,비상임 8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표이사는 이사회 결의로 선임된다.비상임 이사는대주주 업체(7명).정보통신부(1명) 추천인으로 구성된다.
이민호 뉴미디어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