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상품] ‘글로벌 인플레이션 연계채권 펀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11면

인플레이션은 채권 투자와 상극이다. 금리는 정해져 있는데 물가가 오르면 받는 이자의 가치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유통시장에서 금리가 올라가면 채권의 값은 떨어진다. 보유 중인 채권을 내다 팔 때 손해가 난다는 얘기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이 인플레이션 연계채권이다. 현대인베스트먼트 자산운용이 5월 말 출시한 ‘글로벌 인플레이션 연계채권 펀드’는 세계 각국의 인플레이션 연계 채권을 편입해 운용한다.

◇대상과 특징=이 펀드는 영국계 HSBC 은행의 자회사인 시노피아 자산운용의 인플레 연계펀드 ‘GILB 펀드’를 복제했다. 운용도 시노피아에 위탁한다. 모펀드는 미국과 유럽·일본 등 선진국 인플레이션 연계채권을 80%, 한국과 브라질·멕시코 등 신흥시장 채권을 20% 정도 보유하고 있다. 선진국 채권은 안전성은 높지만 수익률이 낮아 신흥국 채권으로 보완하는 구조다.

◇이것이 장점=일반채권은 물가가 올라도 받을 수 있는 이자(쿠폰)는 변함이 없다. 하지만 인플레이션 연계채권은 원금을 물가상승률에 연동시키기 때문에 물가가 오르면 원리금을 더 많이 받게 된다. 현대 인베스트먼트 자산운용 박영욱 마케팅팀장은 “채권 가격이 실질금리에 연동되기 때문에 명목금리가 올라도 가격 변동폭이 작은 것이 특징”이라고 소개했다. 실제 이 펀드의 1개월 수익률은 0.41%로 해외 채권형펀드 평균 수익률(0.1%)보다 네 배나 앞섰다.

◇이것은 고려해야=아무리 실질금리에 연동된다 해도 금리가 급격히 뛰면 채권수익률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특히 모펀드가 편입한 채권의 만기가 긴 편이어서 가격 변동에 좀 더 취약한 편이다. 큰 규모는 아니지만 편입 채권 중 아르헨티나 같은 나라의 채권은 부도 위험도 안고 있다. 이 밖에 장기 투자 시 주식형펀드에 비해 수익률이 떨어진다는 약점도 있다.

최현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