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우씨 '6.29선언'반대 망명 고려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한국 현대사의 전환점이 된 6.29선언의 진상에 대해 전혀 새로운 증언이 나왔다.
87년 당시 한국에 근무했던 미국정부의 한 정보요원은 16일발매된 시사월간 WIN 3월호와 가진 인터뷰 증언에서 『6.29선언은 비등하는 한국내 반미(反美)여론을 의식한 미국이 전두환(全斗煥)대통령을 압박해 끌어낸 것이며 이 과 정에서 탱크까지 동원됐고,노태우(盧泰愚)씨는 끝까지 반대하고 유사시 망명처까지 타진했다가 뒤늦게 성명을 발표했다』고 말했다.
그는 『위수령은 사실상 발동됐다.20일 작전개시에 맞추기 위해 (군의)이동이 시작돼 19일 全대통령과 릴리 당시 주한(駐韓)미국대사 사이에 있었던 청와대 단독 면담 시간에는 일부 부대병력은 실제로 이동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全대통령이 내린 위수령 발동 작전 명령은 6월18일 육본 작전참모부장에게 하달됐으며 발동시기는 20일 오전4시로 잡혀 있었는데 미국이 이를 파악한 것은 6월17일 전두환.노태우씨 대화의 도청에 의해 가능했다고 암시적으로 밝혔다.
그는 『미국은 「압박」과 「보장」이라는 두개의 축으로 5공측을 설득한다는 전략으로 임했으나 결국 고육지책으로 짜낸 것이 한국군에 대한 미군의 무력시위였다』며 모두 5대의 탱크가 동원돼 수도권 지역 한국군 주요 지역앞에 개별 배치됐 었다고 전했다. 당시 全대통령과 면담중이던 릴리 대사는 레이건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한 뒤 『(한국 정부의)강경조치가 이어질 경우 현 정권의 안전을 보장하기 어렵다』고 압박했으며 全대통령은 면담 1시간30여분만에 안현태(安賢泰) 당시 경호실장을 불러 위수령 발동 취소를 지시했다고 이 요원은 전했다.
이 요원은 그러나 『安실 지역 한국군 주요 지역앞에 개별 배치됐었다고 전했다.
당시 全대통령과 면담중이던 릴리 대사는 레이건대통령의 친서를전달한 뒤 『(한국 정부의)강경조치가 이어질 경우 현 정권의 안전을 보장하기 어렵다』고 압박했으며 全대통령은 면담 1시간30여분만에 안현태(安賢泰) 당시 경호실장을 불러 위수령 발동 취소를 지시했다고 이 요원은 전했다.
이 요원은 그러나 『安실장이 대통령 지시를 받고도 당시 안보기관대책회의 참석 때문에 위수령 취소 명령을 30분간 늦게 전달해 일부 부대는 구파발까지 근접했다가 무전을 받고 회군했다』고 덧붙였다.
미국 정보요원은 『盧씨는 全대통령으로부터 직선제 수용등이 담긴 6.29 계획을 듣고도 「직선제로 바꾸면 각하가 굴복한 것이 된다」며 반대했다』고 밝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6.29가 실행 단계에 들어가자 유사시 자신과 직계 가족들의 미국 망명 보장 여부를 점검토록 했다고 증언했다.
그는 『당시 미국이 이처럼 위수령 저지와 6.29탄생에 적극적으로 개입한 것은 악화된 국민 감정이 자칫 미국쪽으로 모아져범국민적인 저항에 직면할지 모른다는 우려 때문이었다』며 최형우(崔炯佑.당시 민주당.현재 신한국당)의원등 야당 의원들은 최악의 경우 김영삼(金泳三) 현대통령을 포함한 야당 의원들이 광화문에서 분신자살을 하겠다고 위협했다고 밝혔다.
워싱턴=김용일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