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록원 “봉하마을 방문해 빠진 자료 집중 조사할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국가기록원은 9일 “노무현 전 대통령 시절 청와대 내부 전산망인 ‘e지원 시스템’에서 최초로 생산된 전자기록물을 담은 하드디스크 ‘원본’을 넘겨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노 전 대통령으로부터 넘겨 받은 전자기록물이 ‘진본’이라는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한 설명자료에서다.

국가기록원에 따르면 전자기록물은 특성상 원본과 진본이 다를 수 있다. 원본은 “최초 전자적 환경에서 생산·저장된 하드디스크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그러나 진본은 “국가기록원 이관 때 훼손되지 않도록 장기보전 포맷으로 변환한 뒤 행정전자 서명을 첨부해 진본성을 부여한 전자기록물”이라는 것이다. 종이기록물은 원본과 진본이 일치하지만, 전자기록물은 이런 특성 때문에 다를 수 있다고 국가기록원은 설명했다.

국가기록원 관계자는 “(노 전 대통령 측에서)넘겨 받은 e지원 시스템 데이터는 (성남에 있는 국가기록원의)청와대 대통령기록관리 시스템으로 이관된 후 진본 절차를 밟은 전자기록물”이라며 “원본과는 다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국가기록원 조이현 정책기획과 연구원은 “노 전 대통령 측 비서관들과 유출 자료 조사를 벌이기 위해 봉하마을 방문 일정을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노 전 대통령이 갖고 있는 자료와 (국가기록원이)넘겨 받은 전자기록물의 종류와 내용, 빠진 자료 등을 중점적으로 조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노 전 대통령 측에 공문과 전화를 통해 여러 차례 (기록물을)돌려 달라고 요청했으나 아무런 답변이 없다”며 “자료 유출은 엄연한 불법행위”라고 강조했다.

노 전 대통령 측이 생산한 전자기록물은 지난해 10월 각 비서실 홈페이지 자료를 시작으로 올 1, 2월 집중적으로 국가기록원에 넘겨졌다. 국가기록원은 넘겨 받은 기록물이 웹자료 542만여 건 등 모두 825만여 건이라고 밝혔다.

대전=서형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