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특정대학 위주 진학지도 대학경쟁력 떨어뜨린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대학의 특차원서마감이 있은 후 일부 고교의 특정대학중심 진학지도가 물의를 일으켜 교육부와 각 시.도 교육청이 실태조사에 나선다는 보도가 있었다.문제가 된 부분은 일부 고교 교장들이 서울대 합격자수를 늘리기 위해 타대학으로 가려는 학생들의 특차지원을 막으려고 교장직인을 안 찍어주고 일부 대학에선 가접수를받아주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 전국의 고교는 마치 서울대 입학을 위한 전쟁터 같은 양상을 띠고 있다.이러한 현상은 고교교육의 비정상화,학생의 적성과 개성을 무시한 진학,대학의 경쟁력 약화등 많은 폐해를 낳고있다. 그중 가장 심각한 폐해가 대학의 경쟁력 약화다.지금 우리대학은 교육시장의 개방,첨단산업 주도의 산업구조에 따른 창조력의 중요성,국가경제력 향상을 뒷받침할 인재양성 필요성 등을 위해 대학경쟁력의 향상이 현저히 요구되고 있다.그러나 대학경쟁력 향상은 대학의 상품인 교육과 연구의 질이 구매자인 학생의 대학및 학과선택과 일치할수 있는 자유경쟁 원리가 보장돼야만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특정대학 위주의 무조건적인 진학지도는 이러한 우리의 소망과는 반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많은 교수들이 경쟁을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이유가 별로 없다고 자조적인 한탄을 한다.대학의 랭킹은 언론과 각 고교들에 의해 별다른 분석없이 대학별로 정해져 있어 모든 고교가 그렇게 진학지도를 하고 사회도 그렇게 인정하는 현실에선 경쟁이 존재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또 많은 젊고 패기 넘치는 교수들이 노력을 해도 오르지않고 선택되지 않는 랭킹에 좌절하고 있다.이것이 한국대학의 현실이다. 문제개선 없이 이러한 현상이 계속되고 있는 이유는 우선적으로 일류대의 간판만을 쫓는 사회전체에 책임이 있을 것이다.특정대 위주의 언론 보도 태도에도 크게 문제가 있다.또한 각시.도교육청도 고교의 수준을 서울대 합격자 숫자로 판단 한다고하니 고등학교만 나무랄 수도 없는 것이다.
선진국의 대학 랭킹은 일률적으로 매겨지지 않고 매년 변화하며전공분야마다 다르다.그리고 학생 진학지도도 이러한 전공별 학생의 적성을 충분히 고려해 대학을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우리도 언론이 이러한 점을 강조해야 한다.그 래야만 대학들이 상품인 교육과 연구의 질을 높이기 위해 필사의 노력을 기울이게 돼 한국대학의 경쟁력이 향상 될 수 있을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