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촛불집회 어떻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광우병 국민대책회의’는 11일 “이달 20일까지 정부가 전면 재협상에 나서지 않으면 이명박 정부 퇴진을 위한 국민 항쟁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오전 내부 회의를 마친 뒤 대책회의 관계자는 “민심을 확인한 만큼 정부가 무릎을 꿇을 때까지 끝까지 투쟁한다는 방침”이라고 전했다.

‘촛불 정국’의 다음 고비는 13일부터 사흘간 열리는 촛불집회다. 13일은 2002년 미군 장갑차 사고로 숨진 고(故) 효순·미선양의 6주기다. 14일은 재협상을 외치며 분신·사망한 고 이병렬(43)씨의 영결식이 잡혀 있다. 15일은 6·15 남북 공동선언 8주년이다.

대책회의는 이들 행사와 연계한 대규모 집회를 열 계획이다. 사안의 특성상 촛불집회가 전면적인 반미·반정부 투쟁으로 번질 가능성이 있다. 경찰 관계자는 “이럴 경우 촛불집회가 6월은 물론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방한하는 7~8월까지 이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 촛불집회의 향방은 시민과 네티즌의 손에 달렸다는 게 대책회의의 판단이다. 대책회의 관계자는 “촛불집회는 기성 단체들의 조직력 대신 시민·네티즌의 목소리에 좌우되고 있다”고 말했다. 특정 단체·세력의 뜻대로 이슈나 집회 방식을 바꿨다간 오히려 반발·비판에 부닥치게 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10일 집회 현장에서 나타났듯이 집회 참가자들 대부분이 특정 단체의 선동이나 폭력 행동에 강한 거부감을 가지고 있었다.

천인성·이진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