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사 허화평.권정달.이학봉씨 4인방 무엇을 조사받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12.12당시 보안사 인사처장이었던 허삼수(許三守.가칭 신한국당)의원이 9일 검찰에 출두함으로써 검찰 수사가 활기를 띠고있다. 許씨는 당시 허화평(許和平)보안사령관 비서실장,권정달(權正達)정보처장,이학봉(李鶴捧)대공처장과 함께 「보안사 4인방」으로 불리며 12.12를 사전 모의하고 정승화(鄭昇和)계엄사령관을 연행한 전두환(全斗煥)씨의 최측근.
검찰은 그동안 경복궁 모임 참가자와 정승화씨 등을 불러 조사한데 이어 許씨를 국회회기중임에도 불구,조사를 강행함으로써 앞으로 나머지 3명도 조만간 모습을 드러낼 전망이다.
한때 검찰조사에 응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이 마음을 바꾼 것은 全씨의 단식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즉 주군(主君)이 5공의 정당성 부정에 강력히 반발하며 단식하는 마당에 검찰 조사를 통해 자신들의 주장을 펴자는 것이다.
두 許씨가 신한국당의 5.18특별법안 서명을 거부하고 허화평씨가 7일 MBC와 SBS 두방송사 대표등 16명을 명예훼손 혐의로 서울지검에 고소한 것도 이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검찰은 이날 許씨를 상대로 ▶12.12 사전모의 여부 ▶정승화 계엄사령관 연행 경위 ▶이 과정에서의 발포상황 등을 집중 조사했다.나머지 3명도 비슷한 조사를 받게된다.
검찰은 특히 사전모의 여부가 군권장악과 정권탈취를 위한 내란의 성격을 규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판단,지난해 조사결과를 토대로 합수부측의 사전 음모를 집중적으로 캐물었다.
그러나 許씨는 『12.12사건은 정승화 총장을 연행하는 과정에서 생긴 우발적인 사건일 뿐 사전모의는 전혀 없었다』면서 사전 시나리오설을 강력히 부인했다.
특히 全씨가 12월 초순 鄭씨 연행계획 수립을 자신과 우경윤(禹慶允)씨 등에게 지시해 계획을 수립,全씨에게 보고했다는 지난해 검찰 수사결과에 대해서도 고개를 내저었다.
許씨는 또 鄭씨 연행이 군권장악을 위한 쿠데타의 1단계 행위라는 검찰 주장을 일축,김재규(金載圭) 내란방조 혐의를 수사하는 과정에서 어쩔 수 없는 조치였다고 주장했다.
즉 鄭총장이 박정희(朴正熙)전대통령 시해범이 김재규인줄 알면서도 이를 은폐하고 한발 나아가 동조하는 입장을 취함으로써 수사를 교묘히 방해했다는 것이다.
許씨는 총장공관에서의 발포책임도 鄭총장 쪽으로 떠넘겼다.
우경윤 합수부 수사2국장과 함께 임의동행을 요청하자 鄭총장이이를 거부하고 부관과 경호원을 부른 것이 총격전의 발단이었다고주장했다.
김상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