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김해서 ‘노무현 효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통합민주당이 4·9 총선에 이어 6·4 재·보궐 선거에서 연속으로 경남 지역에 깃발을 꽂았다. 18대 국회 재입성에 성공한 최철국(56) 의원과 도의원에 당선된 명희진(36) 당선인이 그 주인공이다. 공교롭게도 두 당선인은 모두 경남 김해에서 당선됐다. 김해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살고 있는 진영읍 봉하마을이 있는 곳이다. 그래서 정치권에선 “민주당이 김해에서 ‘노무현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는 말이 나온다.

두 당선인 스스로도 ‘노무현 마케팅’을 당선 비결로 꼽는다. 최 의원은 무소속으로 출마하란 주변의 권유에도 불구하고 민주당 후보로 출사표를 던졌다. 선거운동 과정에선 노 대통령과 맺어온 정치적 인연을 강조했다. 귀향한 노 전 대통령을 마중하고 클래식 공연을 관람하는 등 친분을 과시했다. 도리어 노 전 대통령이 “내가 현실 정치에 개입 안 하는 것이 당신을 돕는 길”이라며 노출을 꺼릴 정도였다.

명 당선인도 마찬가지다. 김해 지역 ‘노사모(노무현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고문으로 활동했던 경험을 살려 30, 40대 젊은 층을 공략했다. 선거 홍보물을 노 전 대통령과 정책의 노선과 철학이 같다는 것을 강조해 만들었다. 노사모 회원들의 입소문이 큰 도움이 됐다.

‘노무현 마케팅’의 성공 배경에는 퇴임 후 상승한 노 전 대통령의 인기가 한몫했다는 게 당선인들의 공통된 평이다. 최 의원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귀향했을 때만 하더라도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기대에 가려 인기가 없을 것으로 생각했는데 결과는 전혀 딴판”이라고 말했다. 명 당선인도 “CEO 출신으로 국정을 밀어붙이는 이 대통령보다 이웃에서 가까이 소통할 수 있는 노 전 대통령에게 우호적인 감정을 느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노 전 대통령의 인기 상승이 민주당의 인기 상승으로 이어질는지는 미지수다.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국민은 동교동계·상도동계처럼 정치 세력화하지 않은 전직 대통령에게 신선함을 느끼고 있는 것”이라며 “노 전 대통령의 인기는 자체적인 브랜드 때문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김경진 기자

▶ [J-HOT] 한나라 "청와대부터 바뀌어야 한다"

▶ [J-HOT] 민주당도 놀란 '수도권 표심' 이유는 역시…

▶ [J-HOT] 김해서 '노무현 효과' 톡톡히 본 민주

▶ [J-HOT] 고위 공직자들 만난 MB, 욕쟁이 할머니 언급하며…

▶ [J-HOT]국방부 "美 8군 사령부 하와이 이전" 확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