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에 전권 위임” 친박 복당 행동통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左>가 2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친박 무소속 연대와 친박연대 소속 의원 24명과 회동했다. 박 전 대표가 김학원 한나라당 최고위원 등 참석자들과 인사를 나눈 뒤 자리에 앉고 있다. [사진=오종택 기자]

18대 총선에서 한나라당을 탈당한 뒤 당선된 친박 무소속 연대, 친박연대 소속 의원 24명이 2일 여의도 63빌딩에 집결했다. 이날 한나라당 최고위원회에서 밝힌 원칙적 일괄 복당 원칙에 대한 입장을 조율하기 위해서다. 박근혜 전 대표가 회동을 주재했다.

박 전 대표는 모임 직후 기자들과 만나 “(복당 문제는) 저한테 다 맡겨서 결정해 행동 통일을 하기로 의견 일치를 봤다”고 밝혔다. 그는 또 “(복당 결론 시한으로 제시한) 5월도 지나갔고 이 문제를 마무리 지어야 한다는 데 다들 공감했다”며 “당에서 일괄 복당이란 큰 틀을 이야기했는데 그동안 불신이 있어 (복당을) 실천하는 과정에서도 문제점이 없겠느냐는 의견을 나눴다”고 전했다.

박 전 대표는 이어 “(당의 결정에 대해) 당내 (친박) 인사들과 논의를 계속해 충분히 의견을 듣고 결정하기로 했다”며 “나라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복당 문제로 한도 없이 갈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제 더 이상 복당에 대한 이야기는 하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박 전 대표가 복당과 관련한 전권을 위임받으면서 일단 친박 인사의 복당 문제는 수습 국면으로 들어선 것으로 보인다.

한 측근은 “박 전 대표가 당이 밝힌 복당 원칙에 대해 일단 유보 입장을 보였지만 큰 틀에선 긍정적인 것으로 보인다”며 “당내 측근들과 논의를 거쳐 조만간 결론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한나라당 공천을 신청했다가 탈락한 뒤 당선된 친박 인사에 대한 즉각적인 복당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17대 의원 출신인 김무성·이경재·이해봉·이인기 의원 등 친박 무소속 연대 소속 8명과 친박연대 박종근 의원 등이 그 대상이다. 한나라당 조윤선 대변인은 “요건만 맞을 경우 친박연대든 친박 무소속연대든 낙천 뒤 탈당해 당선된 의원들은 곧바로 복당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나라당은 이번 주 중 이들을 제외한 인사들의 복당 여부를 결정할 당원자격심사위원회도 꾸릴 예정이다. 이날 회동에선 “한나라당이 표면적으론 일괄 복당을 내세우면서도 사실상 선별 복당을 하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서청원·양정례·김노식 의원 등 검찰에 기소된 세 명의 의원이 속한 친박연대 측의 우려가 컸다. 한나라당이 밝힌 기준대로라면 이들의 복당과 입당은 허용되기 어렵다. 친박연대 서청원 대표는 회동에서 “우리는 당에서 정해 놓은 결론이 있다”며 부정적 견해를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친박연대 송영선 대변인은 “공천 과정에서 신뢰도가 추락한 일이 있어 믿을 수 있겠느냐는 얘기가 있었다”면서도 “(복당 문제는) 박 전 대표가 결정하는 대로 따르기로 했다. 앞으로 당 차원에서 복당 얘기를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글=정강현 기자, 사진=오종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