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씨 구속파장-금융계 수사 어디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노태우(盧泰愚)전대통령 부정축재사건 수사의 여파가 금융계에 미치기 시작하고 있다.김종인(金鍾仁)전청와대경제수석에 대한 21일의 검찰 소환조사가 그 신호탄이다.
金씨 뿐 아니라 이원조(李源祚)전의원,금진호(琴震鎬.민자)의원등도 핵심수사대상으로 떠올라 이른바「비자금 3인방」과 盧씨,그리고 금융계의 유착구조가 곧 실체를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금융계비리에 대한 검찰수사의 주안점중 하나는 6공시절 금융기관 신설.업종전환 과정에서의 뇌물수수등 비리에 맞춰져 있다.
盧씨 재임기간에는 은행 6개,증권사 7개,지방투자신탁회사 5개,보험사 25개등 43개 금융기관이 신설되거나 업종을 전환했다. 당시 금융계에서는『금융기관 설립과 관련한 인.허가를 고위층이 독점하고 있으며 한곳당 20억원이 오갔다』는 소문이 나돌았다. 이과정에서의 주역은 고위층의 막강한 배경을 바탕으로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던 이들 실세 3인이었다는 것이 금융계의정설이다.
실제로 93년초 터져나온 동화은행 비자금사건의 수사과정에서는은행설립을 주도한 안영모(安永模)전행장이 22억원을 조성해 김종인씨를 비롯,이용만(李龍萬)전재무장관.이원조씨.이현우(李賢雨)전경호실장등에게 각각 2억~5억원씩을 전달한 사실이 확인됐다. 盧씨 재임기간에는 임기초인 89년9월 자본금 4,000억원의 동화은행이 영업을 시작한 것을 시발로 6개 은행이 설립됐다. 91년에는「단기금융업의 전환에 관한 대책」에 따라 같은해 5개투자금융회사가 증권사로 전환했고 92년에는 국내 최초로 외국증권사와의 합작증권사로 동방페레그린증권이 설립됐다.
또 89년에는 인천.경기.강원.광주.부산등 전국 5개 지역별로 1개사씩 5개 투신사가 신설됐었다.
검찰수사의 또다른 표적은 산업은행의 장기저리 시설자금 대출과정에서 오간 것으로 알려진 거액 리베이트의 내역이다.
검찰은 이미 뇌물수수혐의로 구속기소된 이형구(李炯九)전노동장관과 이동호(李同浩)전 내무장관등 2명의 전직 산업은행총재를 소환조사했다.
검찰은 琴전의원이 91년 S금속공장 설립당시 산업은행으로부터장기저리 대출을 받도록 알선한뒤 이들에게서 사례비를 받은 혐의를 잡고 있으나 본인은 부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검찰은 금융계의 막강한 실세인 李.琴씨가 은행장인사등에서도 영향력을 발휘하면서 금품을 챙겼다는 혐의를 잡고 수사를 벌이고있다. 또 신한은행이 본점영업부와 서소문지점등에 만든 7개 차.도명계좌 974억원(잔액 741억원)에 대한 수사도 본격화될전망이다.
이하경.이용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