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메일 서버 없어 고민이세요? '오픈메일'이 있잖아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현재 사용하고 있는 도메인을 그대로 활용해 포털 사이트의 메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나왔다. 기업체의 경우 메일 서버를 따로 만들지 않고도 도메인만으로 회사 메일을 이용할 수 있다.

KTH(대표 노태석)가 운영하는 인터넷 포털 파란(www.paran.com)은 ‘오픈메일’ 서비스를 국내 포털 최초로 제공한다고 27일 밝혔다.

파란 ‘오픈메일’ 서비스를 이용하면, 현재 도메인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파란의 메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c.com의 도메인을 가진 기업은 파란에서 해당 도메인으로 오픈메일을 등록하면 @abc.com의 파란 웹메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오픈메일의 가장 큰 장점은 별도의 메일 서버를 구축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오픈메일’을 파란 메일에서 연동하여 사용할 경우, 파란 로그인만으로 여러 개의 오픈메일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메일 계정 추가 및 삭제 기능을 관리자 모드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어 메일서버 담당자들만이 수행할 수 있었던 메일 관리 업무를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중소규모 업체들이 웹메일을 이용할 때 자주 겪었던 해당 도메인 차단에 따른 메일 발신 문제나 대량 스팸 수신 문제 등도 해결하는 등 보안 안정성 측면에도 만전을 기했다.

파란 ‘오픈메일’은 기본형과 교육형 등 2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형의 경우 계정 200개(계정당 1GB), 교육형의 경우 계정 2,000개(계정당 2GB)의 용량을 무료로 제공한다.

파란은 상반기 내에 파란의 메신저인 U2와 오픈메일의 연계 및 모바일로 파란메일과 오픈메일을 이용할 수 있는 ‘1001 서비스’도 출시할 예정이다. 모든 휴대폰 단말기에서 ‘1001+모바일 인터넷’ 버튼을 누르면 바로 파란메일로 접속된다. 이동통신 3사 모두 사용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모바일 메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KTH 파란사업부문장 권은희 상무는 “파란의 ‘오픈메일’ 서비스는 파란의 메일 서비스 노하우를 바탕으로 안정적이고도 경제적인 시스템을 구축한 서비스”라며 “오픈메일 사용시 단체 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 수단 단일화를 통한 업무 효율성 증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김윤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